정부의 대규모 자금지원에도 불구하고 3대 투신사들은 차입금을 모두 갚기
위해서는 9천억원에 이르는 주식및 미매각수익증권을 전부 처분해야할 입장.
투신사가 당초 예상한 지원금은 지난 4월말 현재 5조9천억원에 이르는
차입금 전액이었으나 정부가 27일 발표한 지원금 규모는 특융 2조9천억원과
국고자금 3천억원등 모두 3조2천억원.
여기에 정부가 지난해 지원한 국고여유자금가운데 일부를 찾아가고
남아있는 1조6천억원을 더하면 투신사 정상화를 위한 외부지원금은 모두
4조8천억원인셈.
이는 당초 3대투신사가 예상했던 금액보다 1조1천억원이 부족한 실정.
지급이자를 제외한 3대투신사의 영업이익이 2천억원으로 예상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9천억원의 차입금이 남게되는데 문제는 이 잔액이 묘하게도
3대투신사가 고유재산으로 보유하고 있는 주식및미매각수익증권 장부가격과
일치하고 있다는 것.
투신사들은 이를 투신사가 갖고있는 주식및 미매각수익증권을 모두
처분하라는 뜻으로 해석하고 있는데 주가하락으로 인한 평가손실률이 40%로
매도는 불가능하다는 것이 투신사들의 입장.
한편 정부는 투신사의 이같은 분석에 대해 1조1천억원은 자구노력에 의해
조달해야한다고 밝힐뿐 보유상품 매각여부에 대해서는 언급을 회피하고
있어 투신사들이 어떤 태도를 취할지 투자자들은 주의깊게 지켜봐야 할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