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설비분야는 기술적난이도에 따라 그 부가가치가 급격하게 변하기
때문에 국산화를 이루지않고는 수출산업으로 키울수 없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산업설비 설계및 제작은 외국의 기술도입 또는
핵심기계장치의 수입이 상당부분 이뤄져야 수출이 가능한 실정이다.
그동안 시스템엔지니어링이나 프로젝트 관리경험이 없었기 때문이다.
산업설비 제작에 필요한 핵심기계장치의 국산화가 이뤄지지 않아
설비업체는 "전체"를 만들어 본 경험도 적다.
이에따라 국내 설비업체는 품질및 기술에서는 선진국에 뒤지고 가격에서는
후발 개발도상국에 비해 비교열위에 있다.
산업설비의 국산화를 높일 지원대책도 미흡했다고 본다. 예컨대
공업발전법에 의한 공업발전기금,공업기반기술개발사업등은 산업설비의
국산화를 지원하기에는 그 대상이 너무 포괄적이다.
국산화지원금융은 공해방지시설에 대한 지원을 제외하고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산업설비제작에는 소요자금이 비교적 크고 수주에서 대금회수까지 시간이
많이 걸린다. 산업설비분야는 조선산업과 같이 정책지원대상이 되지 않고
있는데 중소형 산업설비의 국산화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이같은 문제점에 비춰 몇가지 국산화촉진방안을 제시해본다.
산업설비기술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기위해 설비전체보다 핵심요소 기계류및
장치위주의 국산화가 절실하다.
또 중요기술은 패키지화를 추진해야 한다. 예컨대 구형탱크류의
기본설계및 상세설계를 패키지화해 필요할때 사용할수 있을 것이다.
입찰제도의 개선도 필요하다. 산업설비발주때 설비별 분리방식 또는
컨소시엄형성을 적극 유도,설비별 전문화를 이뤄야 한다.
이같은 방식으로 국내업체는 단독으로 설계 제작 설치의
일괄수주,실질적인 국산화를 실현할수 있도록 해야한다.
중소 엔지니어링업계의 기술향상을 위해서 기계공업진흥회 산하에
플랜트엔지니어링지원센터(가칭)를 설치해 봄직하다.
지원센터를 통해 엔지니어링관련 조사연구와 표준화등의 업무를 해나갈수
있을 것이다.
산업설비의 국산화는 정부가 신기술 사용공사를 적극 추진하고 있어
상당히 빠른 속도로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산업설비국산화는 그 나름대로 특성이 있어 이에 적절한
지원시책이 단순 집약화되지 않을 경우 소기의 목적을 거두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