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처는 환경오염방지시설산업이 2000년대의 주력 수출전략산업으로
부상할 것으로 보고 환경시설산업육성방안을 마련, 발표했다.
환경처가 28일 오염방지시설업체대표자 간담회를 통해 밝힌 육성방안에
따르면 오염방지시설업을 현재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G-7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추진하 며 이를 위해 오는 2001년까지 총 1천9백55억원의 재원을
마련, 민간 오염방지시설 업체들에 지원키로 했다.
이에 따라 환경처는 오는 2000년까지 중점적으로 추진할
기술개발분야를 선정하 고 분야별 투자계획과 재원조달방안을 금년중
마련할 방침이다.
또 환경기술연구조합(가칭)을 사단법인형태로 설립, 난분해성 오염물질
처리기 술개발등 방지기술에 관한 공동연구를 수행토록 하는 한편
환경산업육성을 위한 제 도적 장치로 가칭 환경오염방지산업지원육성법을
마련, 우수업체에 대한 금융 및 세 제상의 혜택을 부여해 민간기술개발을
촉진토록 할 계획이다.
이와함께 기술지원단을 신설, 방지시설 설치 및 운영기술이 미숙한
영세업체들 에 대한 기술지원을 제공토록 하고 방지시설을 설치하는
중소업체들과 축산폐 수정 화시설을 설치하는 업체들에 대한 금융지원도
대폭 확대, 지난해 2백85억원에서 금 년에는 4백억원으로 늘리기로 했다.
방지시설업체들에 대한 융자조건은 연리 7%로 3년거치 7년
분할상환이며 한도는 2억원이내(공동방지시설의 경우 5억원이내)이다.
환경처는 이와 아울러 ''방지시설업 등록기준 및 행정처분기준''을
개정해 법인의 경우 2억원 이상, 개인은 재산평가액 4억원이상으로
자본금을 대폭 늘리는 반면 대 기 및 소음진동방지시설업은 실험실구비
의무를 면제토록 할 방침이다.
오염방지시설업은 지난 70년대 후반 환경문제의 대두와 함께 별도의
업종으로 신설된후 계속 성장, 현재 국내시장규모는 연간 4천억원 정도에
이른다.
지난 91년말현재 등록업체는 6백31개소로 대부분이 자본금 1억원미만의
영세업 체이나 첨단기술개발에 성공한 한국코트렐공업등 일부 업체의 경우
대만.태국.인도 네시아등 동남아 각국에 수출, 지난해 6천5백만달러의
실적을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