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국내발전설비를 오는 95년까지 한국중공업에 독점발주하게 됐있는
발전설비제조 합리화계획을 수정,중장기전원개발사업변경에 따라 새로
늘어난 물량은 경쟁입찰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16일 경제기획원에 따르면 전력부족난 해소대책으로 발전소건설계획을
대폭 확대한데다 발전설비 독점공급업체인 한국중공업에서 이미 납기지연
하청증가등의 부작용이 빚어지고 있는 점을 감안,이같은 보완대책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경제기획원은 특히 우리나라의 정부구매물자 조달협정가입으로 내년부터는
발전설비에 대해서도 시장개방압력이 격화될것으로 전망되고
민간설비제조업체들도 외국의 발전설비시장에 참여하려면 국내에서의
수주실적이 있어야 하는 점을 고려,발전설비 산업의 경쟁력강화차원에서도
독점공급체제를 앞당겨 경쟁체제로 전환시킨다는 입장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한국중공업의 경영정상화에는 차질이 없도록 종전
국가전원개발사업에 포함돼있던 발전설비는 당초예정대로 오는 95년까지
한중에 수의계약으로 독점발주토록 할 계획이다.
이렇게되면 올해부터 96년까지 건설할 총26기의 발전소(1천3백28만4천 )중
수력 2기 유연탄 3기등 모두 5기(1백87만4천 )는 민간업체와 한중에
경쟁입찰하게 된다.
이와관련,경제기획원은 최근 상공부 동력자원부등 관계부처회의를 열고
발전설비제조경쟁체제 조기도입에 따른 문제점을 분석 보고토록 한데이어
조만간 산업정책심의회를 열어 발전설비제조 합리화계획 수정방안을
최종확정할 예정이다.
그러나 경제기획원의 이같은 방침에 대해 상공부등은 지난해 한중이
5백70억원의 흑자를 내긴 했으나 여전히 누적적자가 4천억원에 달해있고
최근의 부분적인 문제점은 품질관리강화로 시정될수 있다며 강력히
반발,앞으로 논란이 예상된다.
한국중공업은 지난 89년10월과 90년1월 두차례에 걸쳐 매각을 시도했으나
계속 유찰되자 90년2월 공기업체제유지를 결정,오는 95년까지 발전설비를
독점공급토록해 경영을 정상화한뒤 기업을 공개키로 했었다.
한중은 지난해 처음으로 흑자를 냈으며 당초 계획대로 발전설비물량을
수의계약으로 수주할 경우 96년부터는 누적적자를 완전히 해소할수 있을
것으로 평가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