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산업생산과 출하 설비투자등의 증가율이 90년보다 둔화돼 전반적인
경기는 다소 둔화되는 현상을 보인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과열양상을 지속했던 건설과 민간소비가 안정을 되찾고 수출도
다소 회복세를 보여 성장구조는 개선되는 조짐을 보였다.
1일 통계청이 발표한 "91년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산업생산은
8.3%,출하는 10.6%가 늘어 90년(생산 8.9%,출하 11.3%)보다 증가율이 다소
둔화됐다.
90년에 39.6%증가를 기록했던 국내 기계제작업체의 수주는 지난해
2.7%증가에 그쳤고 산업체의 기계류수입허가는 4.8%감소세를 기록,기업체의
설비투자도 부진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노사분규감소등으로 제조업체 평균가동률은 90년 79.6%에서
작년에는 80%로 높아졌다.
출하내용면에서도 내수용 출하증가율은 15.3%에서 12%로 다소 둔화된 반면
수출용 출하는 1.3% 감소에서 5.4%증가로 다소 개선되기도 했다.
특히 건축허가면적은 31.4% 증가에서 9.7%감소로 반전됐고 건설업체의
공사수주액도 55.8%에서 13.9%로 증가폭이 낮아져 건설경기 진정추세가
뚜렷이 나타났다.
건축허가면적은 공업용이 6.7% 증가한 반면 주거용은 16.7%,상업용은 3%의
감소를 기록했다.
이와함께 내수용소비재 출하증가율은 15.2%에서 12.2%,도소매판매증가는
12.3%에서 8%로 둔화돼 과소비현상도 점차 진정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백화점등 종합소매점의 매출증가(16.3%)도 다소 둔화됐다.
한편 실업률은 90년 2.4%에서 2.3%로 낮아져 사상 최저수준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