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노조(위원장 최태일.정부투자기관 노조협의회의장)등 17개 정부투자
기관 노조위원장들은 정부의 정부투자기관 임금인상 5%이하 억제방침에
항의, 18일 낮 12시께부터 한국전력 을지로별관 구관 7층 협의회의장
사무실에서 무기한 농성에 들어갔다.
이들의 반발은 정부가 내년부터 총액임금제를 실시,임금통제정책을
강력히 추진하려는 가운데 나온 것이어서 일반기업에 파급될 영향등 그
귀추가 주목된다.
이번 농성돌입은 정부가 지난 10월 28일 정부투자기관 경영평가
위원회에서 예산편성공통지침을 통해 인건비 인상을 5-7%(하위직)
반영하도록 결정해 각 투자기관에 이미 통보했는데 공통지침 내용을
노조측과 사전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파기하고 5%이하로 번복한데서
비롯됐다.
정부투자기관 노조협의회측은 "산하 23개 회원조합들은 당초 92년
임금인상을 15%로 요구했으나 전반적인 경제여건을 감안해 정부의
공통지침을 수용, 임금 조기타결 방향으로 조합원을 설득하고 있는데
한마디 상의도 없이 결정된 5-7% 인상방침을 일방적으로 파기한것은 정부가
모든 일을 마음대로 하겠다는 처사로 보인다"고 비난하며 크게 반발하고
있다.
협의회측은 이에앞서 지난 10월말 정부에 낸 종합건의서를 통해 각
투자기관의 업종,수익성등이 다양한 점을 감안해 공통지침제도를 폐지하고
경영평가제도 개선, 노조대표 당연직이사 참여등을 요구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