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프로젝트(21세기선도기술개발사업)수행을 위해 내년부터 오는
2001년까지 10년간 4조7천5백억원이상의 자금이 필요한 것으로 예측됐다.
16일 정부의 G7전문가기획단이 추정한 자금수요에 따르면
초고집적반도체개발,차세대수송기계부품기술개발등 14개대형기술개발과제
수행에 이기간중 정부가 2조2천6백22억원,민간이 2조4천8백90억원등
모두4조7천5백12억원의 자금이 소요될 것으로 나타났다.
14개과제중 자금수요가 가장 큰 과제는 초고집적반도체개발로
1조8백70억원(정부 3천6백50억원, 민간 7천2백20억원)이 필요하고 차세대
수송기계부품기술개발(5천5백20억원)첨단생산시스템개발(5천1백40억원)
광대역종합정보통신망(4천5백억원)등의 순이다.
정부는 G7프로젝트에 필요한 투자재원을 확보하기위해 정부부문에서
각부처의 연구개발(R&D)예산을 이사업에 우선적으로 적용토록 할 방침이다.
또 한전 한국통신등 정부투자기관 매출액의 일정률을 이분야 R&D에
투자하도록 관계법령을 고치고 경영평가때 연구개발 투자항목의 비중을
상향조정키로 했다.
정부는 이 프로젝트를 뒷받침하기위해 과학기술진흥기금도 오는 96년까지
1조원을 조성키로 했다.
정부는 민간기업의 기술개발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조세 금융
구매지원제도등을 개선하거나 확충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