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11일 노태우대통령의 한반도 비핵화선언 후속조치의 하나로
남북고위급회담에서 채택할 ''남북사이의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협력에
관한 합의서''에 ''한반도내 모든 핵무기및 화학, 생물무기의 우선제거''를
명문화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를 위해 기존의 우리측 합의서문안중 남북불가침보장장치
관련규정에 비감축을 추진한다''는 조항을 추가로 포함시킨 수정안을 마련,
이날 오전 판문점 북 측지역 통일각에서 열린 고위급회담 대표접촉에서
북측에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정부의 한 당국자는 "핵문제는 민족의 사활이 걸린 문제로
노대통령 도 고위급회담에서 논의하자는 의사를 이미 표명한 바 있다"고
밝히고 "우리측 제안은 핵문제에 관해 우리 정부가 능동적 입장에 섰음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남북한은 이날 가진 판문점 대표접촉에서 ''남북사이의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협력에 관한 합의서''의 내용절충과 문안정리작업을 벌였다.
지난 10월말 열린 평양4차고위급회담에서의 합의에 따라 비공개로 열린
이날 접 촉에서 남측은 4차회담에서 제시했던 내용을 서문 <>남북화해
<>남북불가침 <>남 북교류협력 <>수정 및 발효조항 등의 순서로 재구성,
북측에 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남측은 특히 이날 접촉에서 북측이 강한 거부감을 보여온 <>서울.평양
상주대표부설치 <>신문, 라디오, TV 및 출판물의 상호개방과 교류
<>불가침이행을 위한 군사 신뢰구축조치 강구 <>교류협력을 위한 실천조치
등 쟁점사항에 대해 유연하게 대처 할 수 있다는 입장을 피력하면서
북측의 성의있는 대응을 촉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당국자는 이날 "상호 언론개방은 흡수통일에 대한 경계심을 갖고
있는 북한 으로서 당장 수용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고 말하고 "이에따라
우리측은 앞으로 신 문.방송 등의 개방을 점진적이고 단계적으로 추진할 수
있다는 양보안을 제시할 방 침"이라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또 ''상주대표부 설치''는 ''남북연락사무소'' 또는 ''연락기구''로
명칭을 바꾸어 서울과 평양에 설치한다고 수정제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이어 불가침 및 교류협력부분의 실천 및 보장조치에
대해서도 필수적인 내용만으로 줄인다는 입장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남북한은 이날 대표접촉에서 오는 15일 오전 10시 판문점 남측 평화의
집에서 두번째 고위급회담 대표접촉을 갖기로 합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