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의 모든 경제지표가 좋지않는 방향으로 나타나는 가운데 그래도 문제의
물가오름세가 주춤해지고 있다는 것은 나쁘지 않은 현상이다.
경제기획원발표에 의하면 10월중 물가는 지난달보다 소비자물가
0.1%, 도매물가 0.2%오른데 그쳐 작년말에 비해선 상승률이 소비자물가 9%
도매물가 2.3%에 달한것으로 나타났다.
그것은 수확기의 출하호조로 인한 농산물가격의 하락에 기인한 것이지만
그렇다고 경제기획원당국의 낙관적 전망처럼 연말까지 한자리수 물가가
유지될수 있으리라고는 아무도 생각지 않고 있다. 언제 폭발할지 모르는
물가상승요인이 없어지지않고 상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가에 대한 이러한 불안은 지금 우리사회의 모든 분야에 만연되고 있으며
내년 경제를 어둡게 보는 중요한 근거가 되고있다. 가장큰 물가상승요인은
흔해질 돈의 범람이다.
이러한 통화팽창은 연말까지의 추곡수매자금 연말기업자금방출에 이어
있을 내년의 국회의원선거등 4대선거에서의 엄청난 선거자금살포를
고려할경우 거의 불가피한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각계가 한결같이 내년의
4대선거를 우려하고있고 일부에선 그 일정조정론까지 제기하고 있는
최대이유도 그러한 통화인플레에 있다. 어떤일이 있어도 인플레가
되지않게 물가안정이 유지돼야 한다. 안정기조가 무너진다는 것은 경제의
붕괴를 초래하는 것이기 때문에 물가안정은 한국경제의 최우선
최중요과제가 되는것이다. 정부가 앞으로의 경제운용에 꼭 성취돼야할
10대과제중에서도 물가 임금의 안정에 최우선순위를 부여한것은 너무도
당연하다. 효과적인 총수요관리와 병행해서 노사협력에 의한 임금의
과도한 상승자제등 일종의 소득정책이 일관성있게 추진돼야 한다. 우선
정부부문부터 각종행사등 예산의 낭비를 삭감해야 한다. 또 연증가율이
16%에 달한 기름등 에너지소비증가율(85년까지는 연평균 4.5%증가)을
대폭 줄이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