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중앙회와 전국농민회총연맹등 농민단체들은 정부가 확정발표한
금년도 추곡수매 정부안이 올해 영농비 증가율은 물론 소비자물가 상승률
보다도 낮은 수준이라면서 크게 반발하고 나섰다.
농협중앙회는 26일 정부가 올해 추곡수매가를 통일벼는 동결하고
일반벼를 7% 인상키로 한 것은 소비자물가 상승률보다도 낮은 것으로
가뜩이나 농산물 수입개방 확대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촌경제를
외면하는 처사라고 비난했다.
농협중앙회는 또 수매량을 8백50만섬으로 결정한 것도 수확기산지 쌀값
지지라는 정부수매의 본래목적에 비추어 볼때 크게 미흡한 수준이라고
주장하고 앞으로 국회동의과정에서 일반벼 15%이상 인상 및 수매량
1천1백만섬이상을 요구한 농협안이 최대한 반영되기를 기대했다.
한편 전국농민회총연맹도 일반벼수매가 7%인상은 작년일반벼 수매가
대비 28% 나 인상된 올해 생산비 증가요인의 4분의 1에 불과하고
소비자물가상승률 10.5%, 제조업임금 인상률 16.8%에 훨씬 못미치는
저곡가 정책으로 농민의 피땀어린 노동의 대가를 또다시 수탈하겠다는
반농민적 폭정이라고 비난했다.
전농은 또 정부안이 국회에 상정되는 11월에 모든 수단을 총동원, 올해
추곡수매가 일반벼 24%, 통일벼 10%인상과 1천2백만섬수매로 결정될 수
있도록 현정권에 대한 규탄과 국회의원에 대한 적극적인 압력수단을
강구하겠다고 천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