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대학의 과학기술 연구가 단기성인데다가 연구환경마저
열악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같은 사실은 11일 정부(총리실)가 올해초 대학교수및 정부출연
연구기관 연구원들로 "대학합동평가단"(위원장 김창효교수.서울대
원자핵공학)을 구성, 최근까 지 비공개로 대학평가 작업을 진행,
작성한"과학기술의 선진화를 위한 대학의 연구 환경 개선및 활성화 방안
보고서"에서 밝혀졌다.
이 합동평가단은 대학의 연구기관 실태 및 연구 수행 능력을
파악하기위해 전국 1백15개 대학중 자연계열이 없는 13개 대학을 제외한
1백2개대에 대한 자료조사와 함께 이 가운데서 선정한 30개 표본대학에
대한 현지조사, 표본대학중 6개대 특정학 과의 정밀조사를 거쳐 연구재원
및 인력,연구 성과및 활용도 등에 관한 광범한 조사 를 마쳤다.
다음주중으로 정원식총리에게 보고될 이 보고서에따르면 지난한해
교육부(학술 진훙재단) 과기처(과학재단) 등 대학연구지원기관에서 대학의
기초과학 연구를 위해 지원한 연구비 총액은 국내 자연계
교수(1만6천7백55명) 1인당 3백30만원꼴인 5백50 억원으로 이는 미국의
대학지원 연구비 총액의 0.25%, 일본의 0.65% 수준에 불과했 다.
또 우리나라 대학의 이같은 연구의 대부분이 연속성이 없고 75%가
교수의 개인 연구인데다가 과제당 평균 9개월의 단기 연구인 것으로
밝혀져 기술축적이 어려운것 으로 드러났다.
보고서는 특히 대학에 설치된 부설연구기관은 총 3백67개로 이중
법정연구소는 19%인 71개뿐이고 2백31개가 자체 학칙에따라, 65개는
교수임의로 설치한것으로 나 타났다고 밝혔다.
이에따라 법정연구소를 제외한 상당수의 연구기관이 연구용역 수탁때
각종 세제혜택을 받기위해 임시로 조직한 형태에 불과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