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인구 전체 인구의 49.8%인 2천1백만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80년대 후반 한국 여성의 지위 변화와 현황을 담은 `여성백서''가 한국
여성개발원(원장 김윤덕)에 의해 발간됐다.
이 여성백서는 80년대 후반에 나온 여성관련 자료를 모아 분석한
것으로 85년에 이어 두번째로 선보인 것이다.
이 백서에 따르면 여성인구는 전체의 49.8%인 2천1백67만5천명
(90년현재)으로 남성보다 약간 적지만 정치, 경제, 사회적인 참여율에
있어서는 남성에 비해 현저히 떨어진다.
그러나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율은 46.5% (89년 기준)를 기록,
남성(73.3%)에 크게 뒤지지만 취업하겠다는 여성들이 늘고 있는 추세를
반영하고 있다.
백서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여성인구 = 90년 11월 현재 여성인구는 2천1백67만5천명. 총인구
4천3백52만명의 49.8%를 차지한다.
평균수명은 남성의 67.4세보다 8.0세가 더 많은 75.4세이다.
연령별로는 유년인구(15세 미만)는 85년 29.4%에서 90년 24.9%로
감소한 반면 노령인구(65세 이상)는 5.4%에서 6.3%로 늘었다. 특히 90년
현재 노령인구중 여성비는 62.3%로, 남성 노령인구율보다 2배에 가깝다.
생산연령인구 (15-64세)는 65.2%에 서 68.8%로 늘어났다.
<>건강 = 88년 현재 여성의 평균 초혼연령은 25.3세이고, 가임기간중
출산율은 1.6명이다.
인공 임신중절 경험은 1.65회, 중절경험(85-88년)은 가임여성의 약
53%를 차지하는등 원치않은 임신으로 인한 모성건강문제가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피임 실천면에서 여성 72.5%, 남성 27.5%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3배의
부담을 지고 있으며, 특히 농촌에서는 여성피임률이 90.5%에 달하고 있어
피임 책임이 여성의 의무가 되고 있는 셈이다.(88년 현재)
<>가족= 맞벌이가정이 계속 늘어나는 추세에 있으며 이혼 및 미혼모
증가에 따른 편부모가족, 평균수명 연장으로 인한 노인 독신가구 등이
새로운 가족형태로 등 장하고 있다.
여성의 생애주기는 75-85년 결혼코호트(이 시기에 결혼한 집단)에서는
<>평균 초혼연령이 22.6세 <> 결혼후 자녀출산까지 가족형성기간은 3.4년
<> 자녀양육 및 교육기간은 24.0년 <> 자녀결혼후 남편 사망과 부인
사망까지 해체기는 23년으로 추정된다.
가족주기의 전 기간은 51.8년으로 35-44년 결혼코호트에 비해
7.3년이나 늘어난 기간이다.
가족생활주기의 변화로 볼 때 가사 및 자녀양육 기간이 감소하고 있어
기혼여성의 사회참여 욕구가 갈수록 팽창될 전망이다.
<>교육= 85년 현재 평균 교육기간은 남자 9.66년, 여자 7.58년으로
여성의 교육기간이 크게 떨어진다.
특히 전문대 이상 고등교육 단계로 갈수록 성별 취학률 차이가 심해져
여자 21. 1%, 남자 47.1%로 여학생비가 남학생의 절반에도 못미친다.
직업관에 있어서는 남학생의 93.3%가 평생직으로 생각하는데 비해
여학생은 51. 8%에 지나지 않아 인식차를 드러냈다.
<>경제활동= 89년 현재 여성경제활동인구는 전체 경제활동인구중
40.4%인 7백25만9천명으로 지난 85년 (38.3%)보다 늘어났으며,
경제활동참가율은 46.5% (남성 73. 3%)로 지난 85년(41.5%)보다는 상당히
증가했다.
특히 89년 들어 기혼여성 참여율이 46.8%, 미혼여성이 45.6%로
기혼여성의 비중이 미혼여성을 앞지르기 시작했다.
직종별로는 85년에 비해 1차 산업인 농림수산직에 종사하는 여성비가
급격히 떨어진 반면 전문.기술관련직, 사무직, 생산직 등에서 늘었다.
또 1인당 월급여액은 89년 현재 33만6천8백79원. 남성 급여수준의
52.7%에 불과해 직장에서 성차별이 여전히 시정되지 않고 있다.
<>법적 지위 및 정치활동= 제5,6 공화국 헌법에 남녀평등규정이
신설되고 남녀고용평등법, 모자복지법, 영유아보육법이 잇따라
제정됐으며, 근로기준법, 가족법의 성차별조항이 개정됐다.
한편 정치참여에 있어서는 30년만에 실시된 91년 지방의회 선거에서
전체 의원의 0.9%에 불과한 의석을 차지하는데 그쳤다.
행정부에서는 90년 현재 전체 일반직 공무원 76만4천5백63명중 23.7%인
18만1천83명에 불과하다.
이중 5급(사무관) 이상 여성공무원은 1.4%로 모두 1백7명 (전체
2만6천8백명)에 지나지 않는다. 이는 85년(0.5%) 당시 보다 크게 늘어난
수자이다. 여성은 주로 별정직, 임시직, 하위직에 집중돼 있다.
경찰공무원은 2.2%만이 여성이고, 정부내 각종 위원회에서 여성은 89년
5.5%에서 90년 9%로 증가했다.
<>조직 및 문화활동= 80년대 여성단체활동은 과거 중산층 주부 중심의
여가선용 및 친목 도모 활동에서 벗어나 실질적인 여성 이익단체로
변모하는 한편 여성의 힘을 사회세력화하는데 주력했다.
또한 문학, 음악, 미술, 사진, 연극등 다양한 예술분야에서 여성들이
활약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남성지배문화에 대응하는 비판적 여성문화작품이
만들어지고 있다.
여성개발원(원장 김윤덕)에 의해 발간됐다.
이 여성백서는 80년대 후반에 나온 여성관련 자료를 모아 분석한
것으로 85년에 이어 두번째로 선보인 것이다.
이 백서에 따르면 여성인구는 전체의 49.8%인 2천1백67만5천명
(90년현재)으로 남성보다 약간 적지만 정치, 경제, 사회적인 참여율에
있어서는 남성에 비해 현저히 떨어진다.
그러나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율은 46.5% (89년 기준)를 기록,
남성(73.3%)에 크게 뒤지지만 취업하겠다는 여성들이 늘고 있는 추세를
반영하고 있다.
백서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여성인구 = 90년 11월 현재 여성인구는 2천1백67만5천명. 총인구
4천3백52만명의 49.8%를 차지한다.
평균수명은 남성의 67.4세보다 8.0세가 더 많은 75.4세이다.
연령별로는 유년인구(15세 미만)는 85년 29.4%에서 90년 24.9%로
감소한 반면 노령인구(65세 이상)는 5.4%에서 6.3%로 늘었다. 특히 90년
현재 노령인구중 여성비는 62.3%로, 남성 노령인구율보다 2배에 가깝다.
생산연령인구 (15-64세)는 65.2%에 서 68.8%로 늘어났다.
<>건강 = 88년 현재 여성의 평균 초혼연령은 25.3세이고, 가임기간중
출산율은 1.6명이다.
인공 임신중절 경험은 1.65회, 중절경험(85-88년)은 가임여성의 약
53%를 차지하는등 원치않은 임신으로 인한 모성건강문제가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피임 실천면에서 여성 72.5%, 남성 27.5%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3배의
부담을 지고 있으며, 특히 농촌에서는 여성피임률이 90.5%에 달하고 있어
피임 책임이 여성의 의무가 되고 있는 셈이다.(88년 현재)
<>가족= 맞벌이가정이 계속 늘어나는 추세에 있으며 이혼 및 미혼모
증가에 따른 편부모가족, 평균수명 연장으로 인한 노인 독신가구 등이
새로운 가족형태로 등 장하고 있다.
여성의 생애주기는 75-85년 결혼코호트(이 시기에 결혼한 집단)에서는
<>평균 초혼연령이 22.6세 <> 결혼후 자녀출산까지 가족형성기간은 3.4년
<> 자녀양육 및 교육기간은 24.0년 <> 자녀결혼후 남편 사망과 부인
사망까지 해체기는 23년으로 추정된다.
가족주기의 전 기간은 51.8년으로 35-44년 결혼코호트에 비해
7.3년이나 늘어난 기간이다.
가족생활주기의 변화로 볼 때 가사 및 자녀양육 기간이 감소하고 있어
기혼여성의 사회참여 욕구가 갈수록 팽창될 전망이다.
<>교육= 85년 현재 평균 교육기간은 남자 9.66년, 여자 7.58년으로
여성의 교육기간이 크게 떨어진다.
특히 전문대 이상 고등교육 단계로 갈수록 성별 취학률 차이가 심해져
여자 21. 1%, 남자 47.1%로 여학생비가 남학생의 절반에도 못미친다.
직업관에 있어서는 남학생의 93.3%가 평생직으로 생각하는데 비해
여학생은 51. 8%에 지나지 않아 인식차를 드러냈다.
<>경제활동= 89년 현재 여성경제활동인구는 전체 경제활동인구중
40.4%인 7백25만9천명으로 지난 85년 (38.3%)보다 늘어났으며,
경제활동참가율은 46.5% (남성 73. 3%)로 지난 85년(41.5%)보다는 상당히
증가했다.
특히 89년 들어 기혼여성 참여율이 46.8%, 미혼여성이 45.6%로
기혼여성의 비중이 미혼여성을 앞지르기 시작했다.
직종별로는 85년에 비해 1차 산업인 농림수산직에 종사하는 여성비가
급격히 떨어진 반면 전문.기술관련직, 사무직, 생산직 등에서 늘었다.
또 1인당 월급여액은 89년 현재 33만6천8백79원. 남성 급여수준의
52.7%에 불과해 직장에서 성차별이 여전히 시정되지 않고 있다.
<>법적 지위 및 정치활동= 제5,6 공화국 헌법에 남녀평등규정이
신설되고 남녀고용평등법, 모자복지법, 영유아보육법이 잇따라
제정됐으며, 근로기준법, 가족법의 성차별조항이 개정됐다.
한편 정치참여에 있어서는 30년만에 실시된 91년 지방의회 선거에서
전체 의원의 0.9%에 불과한 의석을 차지하는데 그쳤다.
행정부에서는 90년 현재 전체 일반직 공무원 76만4천5백63명중 23.7%인
18만1천83명에 불과하다.
이중 5급(사무관) 이상 여성공무원은 1.4%로 모두 1백7명 (전체
2만6천8백명)에 지나지 않는다. 이는 85년(0.5%) 당시 보다 크게 늘어난
수자이다. 여성은 주로 별정직, 임시직, 하위직에 집중돼 있다.
경찰공무원은 2.2%만이 여성이고, 정부내 각종 위원회에서 여성은 89년
5.5%에서 90년 9%로 증가했다.
<>조직 및 문화활동= 80년대 여성단체활동은 과거 중산층 주부 중심의
여가선용 및 친목 도모 활동에서 벗어나 실질적인 여성 이익단체로
변모하는 한편 여성의 힘을 사회세력화하는데 주력했다.
또한 문학, 음악, 미술, 사진, 연극등 다양한 예술분야에서 여성들이
활약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남성지배문화에 대응하는 비판적 여성문화작품이
만들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