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등록등 행정민원 업무를 신속히 처리하기 위한 서울시의 행정
전산화 사업이 본격화됐다.
서울시는 14일 내년 3월부터 시행되는 내무부 주관의 전국 행정전산망
가동에 앞서 주민등록 원본과 전산입력 자료의 일치여부를 최종 점검하는
작업을 벌이고 있 다.
내년 3월 전국이 온라인 민원 서비스망으로 연결되면 전국 어느
읍.면.동사무소 에서도 민원서류 전산발급이 가능해진다.
시는 이에 앞서 주전산기 13대를 종로구 수송동 시전자 계산소에, 각
구와 동에 는 1천3백80대의 단말기를 각각 설치, 이미 금년 1월부터 시내
각동별로 지역주민에 대한 일부 민원서류 발급및 열람업무를 전산처리
하고있다.
전산대상 업무는 주민등록 등.초본 발급 <>세대및 개인별 주민등록
열람 <>생 활보호 대상자 증명발급 <>국외이주 신고필증 교부등 6개 업무로
지금은 복사발급과 병행 처리되고 있다.
시의 행정 전산망에 입력된 주민등록 관련자료는 원본에 비해 다소
간소화된것 이 특징으로 거주지 변경사항이 최근 3개 주소만 나타나며
이전의 세대별 주민등록 표에는 줄이 그어진채로 남아있어 사망자나
전출자의 이름이 아예 전산자료에는 삭 제돼 알수 없도록 돼있다.
시의 행정전산망 사업은 부동산관리에도 확대돼 서울에 있는
1백28만필지의 땅 이 모두 전산입력되어 있으며 각 구청이 작년 4월부터
토지대장 열람및 발급업무를 전산서비스 하고 있다.
또 지난 2월부터는 건설부의 데이타 베이스를 통해 전국의 토지대장
자료와도 연결됨에 따라 전국의 모든 시.군.구청에서 지번만 알면
토지대장을 열람, 발급받을 수 있는등 전국 온라인 서비스가 운영되고
있다.
자동차관리 전산화도 현재는 서울 시내에 등록된 1백20여만대의 차량에
대한 등 록, 검사 관련사항이 시자동차 관리사업소의 단말기 52대에 수록돼
등록및 검사업무 가 전산처리되고 있으나 오는 9월부터는 교통부의 데이타
베이스를 통해 전국의 자 동차 등록사항을 한눈에 알수 있는 전국 온라인
체제가 갖춰진다.
시가 행정 전산화 사업에 착수한 것은 지난 87년으로 정부의 행정
전산화 계획 에 따라 중구, 서초구, 강남구등 3개구를 시범구로 지정,
전산기기 설치.자료입력등 전산화를 위한 기초작업을 실시해왔다.
시는 당초 시범구 전산망 운영결과를 토대로 금년이후에 시내 22개
전체 구로 확대할 계획이었으나 부동산 투기억제 정책을 시행하기 위한
토지자료 입력이 89년 에 조기 완료되고 작년말 시내 4백94개동을 잇는
전산망 체제가 갖춰짐에 따라 민원 서류 발급등 전산서비스를 연초부터
시작했다.
시는 본격적인 전국 온라인 행정전산망 시대가 임박함에 따라 담당
직원들에대 한 보안교육을 강화, 민원인의 신분을 확인한 뒤에 주민등록
열람및 발급서비스를 제공토록 하는등 시민들의 사생활 보호와 전산자료의
안전관리를 위한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