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공부는 3일 EC(유럽경제공동체)집행위원회에 한국산
반도체의 반덤핑제소와 관련한 자료들을 제출했다.
이같은 자료제출은 지난해 6월 EC국가들의 반도체 업체들이 한국산
반도체 상품들의 덤핑판매로 피해를 입었다고 주장, EC에 제소한데 따른
것이다.
상공부는 이날 EC측이 요구한대로 국내 반도체 업체들의 지난 7년간
영업실적, 반도체 상품의 원가자료, 생산시설 현황, 한국내 반도체 산업
전망 등 일체의 자료를 일단 제출하고 EC의 판정 결과를 보아 별도의
대응책을 마련키로 했다.
상공부가 검토중인 대응책은 일본의 경우처럼 EC측과 일종의 관리무역
형태를 채택하는 것으로서, 일본은 지난 80년대 후반 자국산 반도체에 대해
EC가 3-80%의 덤핑마진을 판정하자 판매 최저가격을 정하는
관리무역체제를 제의해 EC측의 동의를 받아 현재 이 형태의 반도체 교역을
해오고 있다.
국내 반도체 업체들은 EC지역에 지난해 3억5천만달러 어치의 반도체를
수출한데 이어 올해에는 5억달러 선까지 수출할 계획이며 이에 대해 독일의
지멘스, 네델란드의 필립스 등 현지 반도체 생산업체들이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한편 국내 반도체 업체들에 대한 반덤핑 압력은 EC 뿐만 아니라
미국쪽에서도 최근 가중되고 있어 미국반도체산업협회(SIA)의
W.J.샌더즈3세단장 등도 3일하오 상공부를 방문, 우리측에
미국시장에서의 시장질서 교란행위를 중지해주고 한국의 반도체
수입관세율(현행 10%)을 철폐할 것 등을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