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다음달 1일부터 콜시장이 통합되더라도 당분간 금융기관들이
중개기관을 거치지 않고 상호 콜자금을 직접 거래하는 것을 허용할
방침이다.
30일 금융당국의 한 관계자는 다음달부터 제1,2금융권간으로 이원화된
콜시장을 단일시장으로 통합하여 단자사의 중개를 거치게 되면
자금부족상태가 심각한 5대 시중은행의 경우 자금조달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콜시장이 통합되면 은행권에서 부담하는 콜금리가
현재의 연 14-14.5% 보다 2.5%포인트정도 높은 16.5-17%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실질적인 금리자유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콜시장의
통합은 바로 시중 실세금리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따라서 금리자유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시중은행이
국책은행및 지방은행에서 직접 콜자금을 끌어쓰는 행태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히고 정부로서도 이같은 거래관행을 중단시킬 수는
없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국책은행과 지방은행이 비교적 높은 수준의 금리를 보장하는
단자사와 외국은행 국내지점에 콜자금을 내놓을 가능성이 크지만
국책은행과 지방은행도 콜차입을 필요로 할 때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당분간 시중은행과의 직접거래를 허용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현재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서도 금융기관간에 수수료부담을
없애기 위해 중개기관을 거치지 않고 직접 콜자금을 주고받는 사례가
많다면서 콜시장 통합으로 콜자금거래를 중개기관에 모두 맡길 수는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오는 5월1일부터 콜시장이 통합됨에 따라 자금부족이 극심한 일부
시중은행들은 대출계수를 축소하고 보유자산을 매각하는 등 본격적인
자구노력을 통한 자금난 해소를 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