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판의약품의 약효와 안전성확보를 위해 지난 85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의약품부작용 모니터링제도가 유명무실하다는 지적의
소리가 높다.
특히 최근들어 안전성여부를 제대로 진단받지않는 수입의약품들이
쏟아져들어와 판매되고 있는데도 이같은 "안전장치"미비로 소비자들이
자칫 그 부작용으로 인한 피해를 입을 공산이 커지고 있다.
1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현재 전국의 주요병원 약국등 총 1천2백
36개 의료기관이 시판의약품의 부작용모니터링기관으로 지정돼있으나
거의 개점휴업상태에 있는 실정이다.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이들 부작용모니터링기관간의 부작용정보
상호교환이 전혀 이뤄지지않고 있는데다 대부분의 경우 "돈안되는
일에 굳이 애써 나설 필요업사"는 태도여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 제약업체들도 의약품판매에만 급급할뿐 자사가 제조 판매하고
있는 의약품들의 각종부작용정보수집엔 등한히 하고 있어 소비자들의
약화우려가 더욱 증폭되고 있다는 지적들이다.
업계관계자들은 이같은 문제점에 대해 보사행정당국이 모니터링
기관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는 한편 지역별 부작용정보센터설치,
우수모니터링기관에 대한 우대조치등 의약품부작용모니터링제도의
활성화방안을 적극 강구해야 할 것으로 지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