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5호선 입찰조건의 하나로 제시됐던 국산화의무 규정의 백지화
방침이 정해지자 전동차업계가 반발하고 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전동차 구매/수요기관인 조달청과 서울시는 자금
공급원인 일본의 OECF(대외경제협력기금)의 강력한 반대로 국산화 비율을
50%로 의무화하려던 당초계획을 백지화시키기로 방침을 정했다.
조달청은 국산화조건과 관련, OECF측과의 최종협의를 거쳐 다음주중에
총액입찰(예정가격내에서 전량을 한꺼번에 발주하는 방식)과 국제경쟁
입찰방식으로 5호선전동차입찰을 공고할 예정이다.
이같은 방침에따라 그동안 수주에 관심을 보여온 일본의 히타치중공업
가와사키중공업, 영국의 GEC, 스위스의 ABB, 독일의 지멘스 AEG등은
이번입찰에 단독으로도 참여할수 있게 됐다.
기술개발능력이 없어 컨소시엄형태로 이번입찰참여를 추진해온 국내
업체들은 국산화 조건의 삭제방침으로 3백66량(2천3백80여억원)이 발주
되는 이번 사업에 참여 할수있는 기회가 크게 줄어 들것으로 예상된다.
대우중공업 현대정공 한진중공업등 국내3대전동차업체들은 가변전압
가변주파수(VVVF) 자동운전방식(ATO)등 첨단기술이 적용되는 이번사업에의
참여폭을 넓히기 위해 그동안 국산화 규정의 입찰조건화를 적극 추진해
왔었다.
업계는 "일본업체들에 보다많은 물량을 확보해 주기위해 OECF측이 이번
사업에 지나치게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하고 정부의
일본측 요구수용움직임에 크게 반발하고 있다.
전동차업계는 5호선의 추가발주물량이 3백94량(2천5백60여억원)에
이르고 있으며 앞으로 잇따를 6.7.8호선물량까지 감안, 부품의 국내
조립 합작생산등 관련기술의 이번을 가능케하는 보완장치마련이 시급
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기술이전이 불가능할 경우 수송능력에서 별차이가 없는 기존의
초퍼방식(전압이나 전류가운데 한가지로만 제어 가능한 방식)으로
기술조건자체를 바꾸는 방안도 검토돼야할 것으로 관계자들은 지적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