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처는 맑은 공기와 깨끗한 물을 확보하고 각종폐기물을 효율적
으로 관리하기 위해 금년초 확정, 발표한 "환경보전 중기종합계획"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상반기중에 "환경개선촉진법"(안)을 마련키로 했다.
2일 환경처에 따르면 이 법안은 환경개선촉진을 위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오염원인자 부담원칙의 도입, 환경개선특별회계 설치등을
주요 골자로 하게 된다.
해당년도의 환경개선목표와 대기, 수질등 각분야별 계획이 포함되는
기본계획은 관계기관으로 부터 사업계획 및 관련자료를 제출받아
수립되며 환경보전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된다.
또한 확정된 기본계획을 통보받은 관계기관은 투자재원 확보등
세부추진계획을 수립해 환경처장관에게 통보해야 하며 매년마다의 추진
실적도 다음해 1월말까지 보고해야 한다.
이법안은 특히 오염유발부담금제도를 도입, 환경처장관이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는 시설물의 소유자와 자동차소유자등에 대해 오염유발부담금을
부과, 징수할 수 있도록 규정하는 한편 세부적인 부과대상은 대통령령으로
정할 예정이다.
오염유발부담금제도와 현행 배출부과금제도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배출부과금제도 오염유발부담금제도
--------------------------------------------------------------------
기본성격 배출허용기준초과시 부과 오염을 일으키는 원인자에
부과
--------------------------------------------------------------------
부과대상 환경관계법상의 배출시설 오염을 일으키는 시설과
자동차
(매연, 폐수등의 배출업소) (백화점,호텔등 대형업소와 자동차)
--------------------------------------------------------------------
부과기준 허용기준초과량에 부과 시설물, 자동차의 배출총량에
부과
(초과율,지역 구분) (면적,용도,배기량,차종 구분)
-------------------------------------------------------------------
재원용도 환경오염방지기금 조성 환경기초시설 투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