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버스업계 대표들은 30일 낮 임인택 교통부장관을 방문,정부가
2월1일까지 버스요금을 조정해주지 않거나 인상폭이 미흡할 때는 운행중단
또는 자율적으로 요금을 올려받겠다고 통보했다.
전국버스연합회 조희량회장과 각 지역 버스조합 이사장및 고속버스,
전세버스 대표등 18명의 대표들은 이날 임장관에게 버스업종별로 지난
3-6년 동안 요금이 동결됨에 따라 버스업체들로서는 매년 늘어나는
인건비등으로 인해 출혈경영이 심해져 더이상 운영해나갈 수 없는
실정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버스업의 경우 수입을 순전히 요금에만 의존하고 있어
자체경영개선을 통한 원가절감에는 한계가 있으며 지나친 원가절감은
차량의 노후화,운전기사 이직 등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어 버스업체
들로서는 현재 원가절감에 한계를 맞고있다고 말했다.
이들은 이에따라 버스업계에서는 최근 도산,부도,임금체불,면허
반납등 위기상황이 지속되고 있다고 밝히고 이같은 상황은 정부에서도
상당부분 책임을 져야한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임금협정시 정부가 요금조정 시기를 약속까지 하면서 임금
협정을 체결토록 종용,업자들은 이 약속만을 믿고 임금을 먼저 인상해
줌에 따라 경영난이 가속화 돼왔는데도 정부가 해가 바뀌어도 요금인상을
이행치 않는 것은 정부의 요금인상권한을 남용하는 결과 밖에 안된다는
것.
버스업계는 정부에 시내버스 요금은 현재의 1백40원에서 2백원으로
시외및 고속버스요금은 30%를 올려주도록 요구해놓고 있으며 경제기획원은
교통부와 버스요금 인상폭에 대한 협의를 계속하는 한편 인상 시기는
3월께로 계획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