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진흥공단은 올해 중소기업구조 조정사업의 역점을 지방중소
기업의 경쟁력강화에 두고 구조조정자금의 60%를 지방기업에 집중 지원키로
했다.
28일 중진공에 따르면 그동안 구조조정자금은 수도권과 지방기업에 50대
50비율로 지원됐으나 지자제 실시를 계기로 지역간 균형발전에 대한 욕구가
커지고 있는데다 지역특성을 살린 중소기업 육성이 시급하다고 보고 이같이
지방중기지원을 강화키로 했다.
올해 책정된 구조조정자금은 2천4백93억원으로 이중 60%가 지방기업에
투입되면 이들업체가 이용할 수 있는 자금은 1천4백96억원에 이르게 된다.
중진공은 특히 구조조정사업중 4백억원의 예산이 편성된 창업지원사업의
경우 서울 인천 경기등 수도권지역 창업기업에 대한 지원을 전면 중단
하고 기술집약형 지방중기에만 지원키로 했다.
또 시설근대화및 공정개선 사업에 책정된 5백43억원의 자금도 부산의
신발및 조선기자재업체, 대구의 자동차 부품및 섬유업체, 광주의 전자및
자동차부품업체등 지역별 특성에 맞는 기업의 설비 자동화분야에 중점
투입키로 했다.
협동화 사업전환 소기업육성 대기업사업이양등 나머지 구조조정사업
자금도 지방기업에 우선 배정키로 했다.
중진공은 이와함께 자금신청에 따른 지방업체의 업무 번잡을 덜
수 있도록 서울소재 공단본부에서 취급해 오던 자금지원승인업무를
점차 각 지부로 이양키로 하고 연내에 우선 시설근대화및 공정개선
자금지원승인업무를 지부에서 취급토록 할 계획이다.
이 경우 특정지역에 자금지원이 편중되는 현상을 방지할수 있도록
지부별 지원 승인한도를 설정하는 한편 업체당 지원액도 줄여
가능한한 많은 업체가 자금지원 혜택을 받도록 유도키로 했다.
한편 중진공은 구조조정사업과는 별도로 책정된 9백76억원의
농어촌공업육성 사업자금이 업체수요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점을
감안, 올 상반기중 1천4백억원 규모의 추경예산편성을 요청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