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처는 걸프전쟁의 양상이 원자로파괴에 이어 방사능전으로 확대될
가능성에 대비해 원자력대책반을 운영키로 했다.
22일 과기처에 따르면 걸프전쟁에서 방사능물질이 사용될 경우 방사성
낙진이 시속 90km의 제트기류 및 계절풍을 타고 한반도에 유입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대책반을 운영, 대응책을 마련키로 했다.
대책반은 전쟁이 현재와 같은 양상으로 전개되는 상황에서는 1단계로
낙진중의 방사능물질을 조기에 감지하기 위해 전국 8개 환경방사능측정소
및 4개 원전환경방사능감시소의 방사능측정업무를 ''일일보고체제''로 강화할
방침이다.
또 방사능물질이 검출되는 경우에는 대피요령등 이에 적합한 정보전달 및
대국민 행동지침을 부여하는등 적극적인 방호대책을 펴나가기로 했다.
한편 미국 주간지 ''뉴클리오닉스''의 보도(90년 8월9일자)에 따르면
이라크에는 소련이 공급한 "IRT- 5000", "TAMMUZ-1", "TAMMUZ-2"등 연구용
원자로 3기와 "IQC ", "IQZ" 등 천연우라늄 생산시설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걸프전에서 방사능물질이 사용될 경우 방사성낙진이 계절풍을
타고 한반도에 유입되는데 1백40여시간이 걸리고 그양은 1백50피코큐리로서
인체에 전혀 해를 끼치지 않는다는게 원자력 관계자들의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