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현재 연간 50만섬 수준에 머물고 있는 가공용 쌀 소비량을
오는 95년에 2백만섬가량으로 대폭 확대하기 위해 쌀을 원료로 사용하는
중소가공공장에 대한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8일 농림수산부에 따르면 쌀 생산량의 안정적 확대추세와 정부미
재고누적에 따른 부담경감을 위해 쌀 소비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보고
학교급식확대, 증류주의 쌀 사용 허용등과 함께 중소가공공장에 대한
자금지원을 통해 새로운 제품의 개발및 개발제품의 수출을 적극 유도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에따라 지난해 효성농수산, 대진식품, 송학식품 등 3개
업체를 대상으로 10억원의 자금을 지원했으나 올해는 지원대상 업체를 4-
5개로 늘리고 지원자금도 20억원으로 확대했으며 내년에는 지원자금을
30억원, 지원대상 업체를 6개로 늘리는 등 연차적으로 지원시책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와함께 농심, 삼양, 기린, 백화양조 등 대기업들의 쌀 사용을
적극 추진, 이들 업체가 신제품개발 등을 통해 해외시장을 개척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같은 가공업체 지원등의 쌀소비 촉진시책이 계획대로 추진될
경우 지난해 50만섬 수준에 머물렀던 가공용 쌀 소비량이 오는 95년에는
2백만섬 가량으로 크게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정부는 또 급식대상 학교를 현재 7백65개에서 내년에 1천개로 늘릴
계획이며 이를 전국 7천3백30여개 국민학교로 전면 확대하는 방안을
아울러 추진중인데 학교급식이 전면 실시될 경우 이를 통한 쌀 소비량이
현재 연간 4만5천섬에서 37만섬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학교급식을 전면 실시할 경우 시행 첫해의 시설비등이
4천억원에 달하고 매년 인건비등 1천억원을 추가 지출해야 하기 때문에
한꺼번에 전면 실시하기는 곤란한 실정이며 연차 계획을 세워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한편 이번 정기국회에 제출된 주세법 개정안이 통과되면 주세율 인하와
함께 증류식 소주의 쌀 사용이 가능하고 막걸리와 약주의 판매구역이 각
시.군.도에서 전국으로 확대돼 상당한 쌀 소비증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