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지역이 동남지역 경제권의 중심도시로서 성장하기 위해서는
제조업의 첨단화와 고도화를 유도하고 부족한 용지문제 해결을 위해
해안과 산지를 적극 활용하는 한편 도시기반시설 및 행정체계의
광역화가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9일과 10일 부산발전시스팀연구소 (이사장 강경식) 주최로
부산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지역간 균형발전을 위한 토론회'' 에서
국토개발연구원 최병선연구원은 `부산 도시권의 경제현황과 개발과제''
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부산의 경제는 80년대 들어 쇠퇴일로를 걷고
있으며 거대도시로서 갖추어야 할 중추관리 기능과 국제항구도시에
필수적인 국제무역업무기능이 서울에 비해 크게 뒤떨어져 광역경제권의
중심도시로서의 역할수행이 사실상 어려운 상태라고 지적하고 도시기능과
경제체제의 전반적인 개혁이 없는한 경제침체가 가속화될 수 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 부산, 도시의 성장자체가 한계 직면 ***
또 부산은 김해.진해.양산 등 인접지역과 서로 단절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부산은 도시내의 개발가능토지가 거의 소진돼
주택.공업용지의 신규개발이 사실상 불가능한 상태여서 제조업체의
타지역 이전이 가속화되는등 도시의 성장자체가 한계에 직면하고 있어
이러한 토지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개발방안의 마련이 시급하다는 것.
최연구원은 이같은 부산의 도시문제를 극복하고 동남경제권의 중심지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첨단제조업의 유치와 기존산업의 고도화를 유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부산은 국제공항.항만을 끼고 있는등 입지조건상 제조업 첨단화의
잠재력이 크며 이는 공업용지 부족난을 극복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방안이라는 것이다.
최연구원은 또 용지부족문제를 완화하고 풍부한 해양자원 활용
측면에서 해안매립을 적극 추진하는 한편 도시내에 풍부한 산지.구릉지의
활용방안도 함께 마련할 것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