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부가 지난주말 발표한 광주첨단산업기지 개발계획은 한마디로 큰
기대를 걸만한 하나의 그랜드 디자인이다.
이는 광주일원의 5백86만평에 첨단산업기술의 생산시설지대와 그
첨단산업을 뒷받침하는 연구개발지대및 이 두지대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정주지대를 균형있게 복합시킨 이른바 테크노폴리스를 내년10월에
착공하여 2001년에 완성시킨다는 것이다.
한 지역에 우수한 과학두뇌들이 모여 생활하면서 첨단기술을 연구하고
이를 응용하는 가장 앞선 첨단산업시설로 그기술제품을 생산하는 한편
과학인력을 새로만들 제2의 과학기술대학에서 양성한다는 계획은 대단히
좋은 구상이라 해야한다.
테크노폴리스로 불리는 이러한 기술도시는 일본의 쓰쿠바와 우리나라의
대덕과학단지를 통해 첨단기술연구와 지역사회발전에 이미 크게 기여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우선 95년까지의 제1단계사업에 6천6백여억원이 소요되고
2001년까지는 1조4천억원이 소요되는 건설비를 어떻게 차질없이 조달
투자할수있는가가 가장 큰 문제임엔 틀림없다.
건설부의 발표에도 재원조달에 대해서는 명시되지않았고 다만 토지개발
공사가 시공한다고 돼 있을뿐인데 건설부는 이계획의 차질없는 실현을
위해 그재원에 대해 구체적으로 명시해야만 할것이다.
95년에 끝날 2백36만평의 제1단계가 준공되면 약3만평의 인구를
수용하는 기술도시가 광주권안에 새로 생기게되는데 아무쪼록 정부의
계획대로 거기서 반도체 신소재등 기술집약도가 높은 첨단산업기술제품의
생산과 그 기술의 연구발이 우수한 과학기술인력에 의해 성공적으로
이룩되기를 바란다.
늘상 경험하는 바이지만 방대한 토지를 필요로하는 산업기지 건설에
있어서 경계해야하는 것은 그러한 입지수요가 유발할지 모르는 부동산
투기다.
첨단산업기술단지 주변의 토지가격을 폭등시키지 않게 관계당국은 미리
대비책을 강구해야만 할것이다.
그리고 과거의 공업단지건설과정에서 선결됐어야할 과제가 된 수송 도로
용수 전력의 확보등 산업기반의 정비 이상으로 깨끗한 물과 공기라는
환경조건을 갖추게하고 또 정보통신망등 정보하부구조의 정비와 연구자
기술자들의 연구개발활동을 뒷받침해주는 도시기능이 제구실을 발휘하도록
보장돼야 한다.
그래야만 우수한 연구자 기술자 그리고 첨단기술기업들이 경쟁적으로
모여들게 되기 때문이다.
광주첨단산업기지의 건설에 있어서는 첨단기술의 효율적개발
허점이라는 시각말고도 다른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발전이 뒤떨어진
호남지역의 불균형을 바로 잡아주는 하나의 계기로 삼아야한다는
관점이 필요하다.
이점에서 광주산업기지가 호남지역 주민에게는 이익을 주지않고 소수의
첨단기술산업에만 이익을 안겨주는 것이 될 경우 그것은 지역개발을
주도할 기술도시라고는 할수없음을 관계당국은 명심해야 할것이다.
대덕단지에 이은 광주첨단산업기지건설계획을 추진하는 정부는 기술
경쟁의 세기가될 21세기에 대비한 기술입국을 위해, 또 지방에의
기술정착과 지방경제의 균형 발전을 위해 다른 지방에도 그 지방특성에
맞는 첨단 기술도시를 구상하여 건설해 나가는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