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르시아만 사태로 인한 국제유가 급등으로 9월중 원유의 국내도입
단가가 전월보다 66%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동력자원부에 따르면 페르시아만 사태이후 사우디를 비롯한 각
산유국들의 자체 공시가격 인상조치에 따라 9월중 원유 국내도입(8월
선적분)단가는 배럴당 평 균 23달러96센트에 이르러 8월중의
14달러46센트에 비해 배럴당 9달러50센트, 65.7% 가 상승한 것으로
잠정집계됐다.
*** 석유기금 통한 손실보전 배럴당 5달러선 ***
환율인상분을 감안할 경우 석유사업기금 징수기준이 배럴당
17달러선이어서 9월 중 원유도입에 따른 손실액은 배럴당 6-7달러에 이르게
되며 관세율 인하분 배럴당 2달러를 제외하더라도 9월중 석유사업기금을
통한 정유사에 대한 손실보전액은 배럴 당 5달러선에 이를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난 8월중 선적키로 되어있던 국내 원유도입 물량은 오만을
비롯한 11개 국으로부터 2천1백82만5천배럴(하루 70만4천배럴)이
선적완료됨으로써 당초 선적계 획량중 페르시아만 사태로 인해 이라크및
쿠웨이트로 부터 들여오기로 했던 4백20만 배럴의 차질을 제외하고는 모두
선적되어 페르시아만 사태와 관련, 국내도입물량 확 보에는 별 영향이
없었던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