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오는 92년부터 96년까지의 제7차 경제사회발전 5개년계획의
주요 목표를 90년대 선진국 진입과 남북통일 지향을 위한 발전잠재력의
극대화에 두고 과학 및 산업기술개발 투자의 대폭적인 확충을 통한
기술혁신, 자유로운 제조업 창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관련제도의
개선, 분배개선 및 복지향상 추구, 우루과이 라운드(UR) 무역규범에
따른 농업부문의 산업사회화, 기업의 소유분산과 전문경영체제 확립등의
정책을 중점 추진키로 했다.
정부는 이같은 7차 5개년계획이 차질없이 추진될 경우 연평균 7%
수준의 경제성 장 달성을 통해 오는 96년 국민총생산(GNP)은 경상가격 기준
3백24조6천억원(4천5백 40억달러), 1인당 GNP 1만50달러, 경상수지흑자
50억달러, 대외순채권 1백억달러를 각각 기록해 우리경제가 선진국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6일 경제기획원이 발표한 제7차 경제사회발전 5개년계획 수립 기본구상
따르면 7차 5개년계획의 기본과제를 21세기와 연결되는 90년대를 선진국
진입과 남북 통일 지향을 위한 경제.사회적 안정기반 구축과 발전잠재력의
극대화에 두고 <>기술 및 경영혁신을 통한 발전잠재력 확충 <>국민생활의
질적 향상과 형평 및 복지증진을 위한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대책 마련
<>급변하는 국제화 추세속에서 한국의 지위 향상 <>자유시장경제원리를
바탕으로한 경제사회분야의 제도정비를 주요 정책과제로 추진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