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처는 보건/의료, 환경, 주택, 교통분야등 복지기술개발에 대한 심포
지엄을 18-19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개최했다.
*** 암/간질환/유행성출혈열 연구 우선돼야 ***
심포지엄에서 보건분야 주제발표를 한 김병수교수(연세대 암센터)는 "선진국
에서는 보건의료기술산업이 GNP의 10%를 차지하는 유망산업"이라고 밝히고
"간질환/순환기질환/암/진폐증등과 유행성 출혈열등 우리나라에 많은 감염성
질환퇴치를 위한 연구가 우선돼야 한다"고 말하고 2000년에는 간암과 위암의
발생률이 3분의1정도 감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 산/학/연 묶는 "환경공동연구체" 필요 ***
환경분야에서 박원훈 박사(KIST)는 환경관련 기술인력이 부족한 가운데
제한된 투자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범부처적은 물론 산/학/연을 하나로
묶는 "국가환경공동연구체" 구축을 제안하고 KIST에 사업단체제의 "환경연구
센터"를 설치, 국내 환경연구팀의 구심적 역할을 담당하게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교통/의료등 복지기술개발 심포지엄 ***
교통분야의 서선덕박사(교통개발연구원)는 서울과 부산의 간선도로 주행
시속은 현재의 15.2km, 18.0km에서 96년에는 7.2km, 8.1km로 감소될 전망
이라며 모노레일, 차륜형 또는 전기부상식열차, 고속전철등 새로운 교통
수단에 대한 연구개발이 가속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최종욱박사(시스팀공학센터)는 "서울의 자동차는 93년 1월이면 200만
대를 돌파하게 될 것으로 내다보고 현재의 교통통제시스팀을 개선한 새로운
교통신호시스팀의 개발적용이 차량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가장 바람직하고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말했다.
최박사는 "현재 영국, 홍콩에서 운용되고 있는 분산제어방식인 SCOOT
체계등 몇가지 방식이 검토되고 이다"며 "92년까지 교통통제모델, 최적모델
소프트웨어/하드웨어/자동안내시스팀등을 개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시스팀의 서울지역 적용에는 125억원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했다.
주택분야에서 김진애박사(주택기술연구소)와 정형진박사(KIST)등은 국가
주도의 주택양산기술과 주택자재기술개발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J박사는 주요연구과제로 시멘트 복합재료, 석고복합재료, 인공목재, 조립식
경량 단열판재, 온돌 및 마루자재, 인공대리석, 불연성벽지와 페인트, 인공
골재, 특수콘크리트 조합기술등을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