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수출이 올들어 월별로 최저의 증가율을 보였을뿐 아니라 지난
85년말이래 가장 낮은 증가율을 기록, 수출부진이 더욱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하반기 회복 전망 빗나가 ****
1일 상공부가 잠정집계한 7월중 통관기준 수출입실적에 따르면 월중 수출은
52억4,300만달러로 작년 같은기간에 비해 0.8%의 증가에 그쳐 하반기에
회복될 것으로 예상했떤 정부의 전망이 빗나갔다.
월중 수입은 51억4,000만달러로 작년 같은기간보다 14.4%가 증가, 비교적
안정적인 증가율을 보여 월중 무역수지는 1억300만달러의 흑자로 나타났다.
한편 7월중 수출입을 원화기준으로 보면 수출은 마이너스 7.4%, 수입은
5.1% 증가를 기록, 실질적으로 수출이 크게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올 연말실적 660억달러 밑돌듯 ****
월중 수출신용장내도액 증가율은 6.9%로 8월이후에도 수출이 호전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며 연간 수출은 축소조정한 수정목표 680억달러의 달성이
거의 불가능하고 660억달러미만에 그칠 전망이다.
상공부 관계자는 이같이 7월중 수출이 부진한 것은 <>원화절상과 임금상승
등으로 수출경쟁력 약화가 전업종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정부가 하반기
경제운용대책에서 내놓은 수출촉진책이 부처간의 이견으로 아직 실시되지
못하고 있는데다 <>부처간에 합의한 무역어음제도가 8월들어 비로소 실시에
들어갔고 <>대미달러환율은 안정적으로 운용되고 있으나 최근 달러의 강세로
환율안정의 효과가 상대적으로 상쇄돼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신형자동차의
선적이 8월로 미루어진데다 <>월말에 태풍의 영향으로 부산항에 신발등의
선적에 일부 차질이 발생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 수입증가율, 수출비해 여전히 높은 수준 ****
또 수입의 증가율은 수출증가율에 비해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월별로는 지난 4월의 14.1%에 비해 비교적 낮은 증가세를 보였는데
이는 사치성 소비재의 수입증가와 과소비에 대한 나쁜 여론과 최근 무역
업계의 자금사정으로 소비재수입이 줄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상공부는 이에따라 엔화와 마르크화등에 대한 원화의 상대적인 고평가를
완화하기 위한 환율의 절하운용과 무역금융의 확대, 연말 총통화억제선의
신축적 운용등을 통한 수출촉진을 관계부처와 협의, 반영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