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업계의 대미수입전환은 수입기업의 필요성보다 정책적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많아 대미수입확대전망이 밝지 않은 것으로 조사
됐다.
26일 부역협회가 내놓은 "한국수입업자에 의한 미국수출업자및 상품평
가 조사"에 따르면 미국의 수출업자들과 미국상품은 일본이나 유럽에 비
해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낮은것으로 평가됐으며 미국이 대한수출을 늘리
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한국시장 개척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것
으로 지적됐다.
또 조사대상기업의 53%가 한국의 내년도 대미수입비중이 현재 수준에
그치거나 감소할 것으로 응답한 반면 늘어날 것으로 전망한 업체들은 이
보다 적은 47%에 그쳐 한국의 대미수입확대전망이 밝지 않은 것으로 나
타났다.
특히 대미수입비중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 업체들의 증가전망 근거중
품질과 신용, 상표 친숙도등 미국자체의 경쟁우위요인은 14%미만에 그친
반면 수입선 다변화를 요구하는 정부및 업계의 움직임이라고 응답한 기
업들이 34%나 돼 대미수입선 전환이 기업자체의 필요성보다 외부적인 요
인에 의해 마지못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미국수출업체들이 대한수출을 늘리기 위해서는 <>전시회 박람회참가등
을 통한 공급선 정보제공 노력강화 <>소량주문의 수용 <>아프터서비스및
기술서비스 체제 확립 <>한국특성에 맞는 제품개발 및 판매노력 <>경쟁
국과 비슷한 수준의 가격을 제시할수 있는 가격경쟁력확보등이 시급한것
으로 지적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