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초 나라' 흔드는 우먼파워…멕시코 첫 女대통령 나온다

내달 2일 대선

당선 유력후보 모두 여성
다음달 2일 대통령선거를 치르는 멕시코에서 집권좌파 국가재생운동(MORENA·모레나)의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후보(위쪽)와 우파 야당연합의 소치틀 갈베스 후보가 지난 24일 각각 멕시코시티와 아틀라코물코시에서 선거 유세를 하고 있다. EPAAFP연합뉴스
인구 1억3000만 명의 멕시코를 6년간 이끌어갈 대통령을 뽑는 선거가 다음달 2일 치러진다. 멕시코 헌정사상 첫 여성 대통령이 탄생할 전망이다.25일(현지시간) 현지 언론에 따르면 멕시코 대선의 유력 후보 두 명이 모두 여성이다. 최근 여론조사에서 집권좌파 국가재생운동(MORENA·모레나)의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후보(61)가 우파 야당연합의 소치틀 갈베스 후보(61)를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부장적 ‘마초 문화권’이라는 평가를 받는 멕시코에서 1824년 연방정부 수립을 규정한 헌법 제정 이후 200년 만에 첫 여성 대통령이 나올 전망이다.

여당인 모레나 창당 멤버인 셰인바움 후보는 출마 전까지 수도 멕시코시티 시장(2018~2023)을 지냈다. 리투아니아·불가리아 유대계 혈통인 과학자 부모 사이에서 태어난 그는 멕시코국립자치대에서 에너지공학 박사 학위를 받은 첫 여성이다. 에너지산업 및 기후 분야를 주로 공부한 뒤 2000년 멕시코시티 환경부 장관으로 임명되면서 처음 정치권에 발을 들였다. 당시 그를 장관에 임명한 건 당시 멕시코시티 시장이던 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스 오브라도르 현 대통령이다.

우파 중심 ‘빅텐트’에서 야당연합 후보로 나선 갈베스 후보는 원주민 가정 출신이다. 불우한 집안 사정으로 인해 가족과 함께 길거리에서 타말(멕시코 전통 음식)을 팔며 생계를 도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멕시코국립자치대에서 컴퓨터공학을 공부한 그는 프로그래머로 일하다 스마트 인프라 시스템 관련 사업가로 크게 성공했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