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소수자 다룬 작품들 올해 칸 영화제 수놓았다

숀 베이커 감독 '아노라' 황금종려상 수상
"인간적이고 인도적인 영화" 평가
인도 여성 감독 파얄 카파디아, 심사위원대상 수상
숀 베이커 감독. 연합뉴스
"지금 대체 무슨 일이 일어난 건지 모르겠네요. 이 상을 모든 성 노동자들에게 바칩니다!"

올해 칸 영화제의 주인공은 숀 베이커 감독의 영화 '아노라'(Anora)에게 돌아갔다. 25일(현지 시각) 프랑스 칸에서 폐막한 제77회 칸국제영화제에서 미국 영화 아노라가 최고상인 황금종려상 수상작으로 호명됐다. ▶▶▶[관련 뉴스] '미투 늦바람' 프랑스, 칸의 시선은 ‘여성’에게 쏠렸다
▶▶▶[관련 뉴스] 올해 칸 영화제는 '감독 없는' 한국 영화에 적신호를 보냈다

성 노동자, 위기 가정, 이민자 등 사회적 약자를 조명해온 숀 베이커 감독은 트랜스젠더를 다룬 '탠저린'(2015)'으로 주목받기 시작해 빈곤층 아이들을 그린 '플로리다 프로젝트'(2017)로 칸영화제 감독 주간에 초청됐다. 이후 '레드 로켓'(2021)으로는 처음으로 경쟁 부문에 진출했다. 황금종려상 수상은 이번이 처음이다. 심사위원장 그레타 거윅은 ‘아노라’를 두고 “믿을 수 없이 인간적이고 또 인도적인 영화”라고 언급했다.

2등 상인 심사위원대상은 인도의 여성 감독 파얄 카파디아가 연출한 '올 위 이매진 애즈 라이트'에게 돌아갔다. 뭄바이에서 간호사로 일하는 두 여성이 여행을 떠나는 이야기로, 인도 사회의 여성 문제를 다룬 작품이다.프랑스 감독 자크 오디아르는 '에밀리아 페레스'로 심사위원상 트로피를 가져갔다. 당국의 추적을 피하기 위해 성전환 수술을 하려는 멕시코 카르텔 보스와 그를 돕는 여자들의 이야기다. 이 영화에 출연한 아드리안나 파즈, 카를라 소피아 가스콘, 셀레나 고메즈, 조이 살다나는 여우주연상을 공동 수상했다. 여우주연상을 네 명이 함께 받은 건 이례적인 일이다.

감독상은 '그랜드 투어'를 연출한 미겔 고메스가, 각본상은 '더 서브스턴스' 시나리오를 쓴 코랄리 파르자가 각각 받았다. 할리우드 연기파 배우 제시 플레먼스는 요르고스 란티모스 감독의 '카인즈 오브 카인드니스'로 남우주연상의 영예를 안았다.

모하마드 라술로프 감독은 '더 시드 오브 더 새크리드 피그'로 특별 각본상을 받았다. 이란 감독인 그는 영화에서 여배우들에게 히잡을 씌우지 않았다는 이유 등으로 징역 8년 형과 태형, 벌금형, 재산몰수형을 선고받은 뒤 유럽으로 망명했다. 그는 수상 소감에서 "이란 국민들은 정부에 의해 인질로 잡혀 있다"면서 이란에서 체류중인 이유로 영화제에 참석하지 못한 제작진들에게 감사를 전했다.올해 한국 영화는 경쟁 부문에 진출한 작품이 없다. 류승완 감독의 ‘베테랑2’는 비경쟁 부문인 미드나잇 스크리닝 부문에 초청받았다. 김량 감독의 ‘영화 청년, 동호’는 칸 클래식 부문에 초청됐다. 1937년생인 김동호 전 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의 삶을 담은 다큐멘터리 영화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화과에 재학 중인 임유리 감독의 ‘메아리’는 학생단편경쟁 ‘라 시네프’ 부문에 초청됐다.

최다은 기자 max@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