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경제지표 호조에 금리 인하 기대 후퇴…원화 가치 하락 [한경 외환시장 워치]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미국의 경제지표가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원·달러 환율이 상승(원화 가치는 하락)했다. 미국 중앙은행(Fed)의 금리 인하 기대가 후퇴한 영향이다.

24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일보다 7원10전 오른 1369원50전에 마감했다. 이날 환율은 전날보다 6원60전 오른 1369원에 개장해 장중 1371원90전까지 올랐다. 환율이 1370원대를 터치한 것은 지난 13일(장중 고가·1373원10전) 이후 7거래일 만이다.달러는 간밤 발표된 5월 미국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 지수가 시장 전망치(51.5), 전월치(49.9)를 웃도는 54.8을 기록해 강세를 보였다. 이러한 경제지표 호조로 Fed의 금리 인하 기대는 축소됐다.

오후 들어 수출업체 네고(달러 매도) 물량이 나오며 환율 수준은 1360원대로 낮아졌다.

이날 외환시장 마감 시간(오후 3시30분)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871원93전이다. 전일 오후 3시 30분 기준가 869원85전 보다 2원8전 올랐다.최근 환율이 오르면서 기업을 중심으로 외화 예금이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다.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거주자 외화예금 동향'에 따르면 4월 말 기준 외국환은행의 거주자 외화예금 잔액은 913억5000만달러로 3월 말보다 36억6만달러 줄었다.

달러화 예금이 743억3000만달러로 32억6000만달러 감소했다. 한은 관계자는 "원·달러 환율이 높은 수준이라고 인식하면서 달러를 확보하려는 수요가 줄었다"고 설명했다. 유로화예금은 48억2000만달러로 5억5000만달러 줄었다. 엔화는 97억1000만달러로 1억1000만달러 감소했다. 엔화 예금 감소에는 엔화 약세에 따른 미국 달러화 환산액이 줄어든 것이 영향을 미쳤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