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디스플레이가 반도체 위기 '버팀목'

삼성의 다양한 사업 구조 주목
1분기 스마트폰 영업이익 3.5조
삼성디스플레이는 올 5.6조 배당
삼성전자는 반도체 사업만 벌이는 경쟁 업체와 달리 스마트폰과 디스플레이, 가전제품도 만드는 종합 전자업체다. 반도체가 어려움에 빠져도 다른 부문에서 충격을 흡수해주는 구조다. 이렇게 폭넓은 사업 구조를 갖춘 전자회사는 세상 어디에도 없다.

이런 사업 구조는 위기 때 빛을 발하고 있다. 작년에도 그랬다. 반도체 부문에서 14조9000억원 적자를 기록했지만, 스마트폰을 담당하는 모바일경험(MX)사업부(네트워크 사업 포함)와 삼성디스플레이가 각각 13조원과 5조6000억원의 영업이익을 내 ‘플러스’를 만들었다.올 1분기에도 MX사업부는 3조5000억원의 영업이익을 내며 삼성전자 ‘깜짝실적’을 주도했다. 생활가전(TV 포함)도 5000억원 수준의 이익을 올리며 흑자 전환했다. ‘반도체 위기’를 극복할 체력을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등 다른 사업부가 벌어준 셈이다.

대표적인 회사가 삼성디스플레이다. 이 회사는 지난 3월 정기 주주총회에서 6조6504억원 규모 배당을 약속했다. 이에 따라 삼성디스플레이 지분 84.8%를 보유한 삼성전자는 5조6395억원의 배당을 받는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삼성디스플레이로부터 20조원을 차입하기도 했다. 삼성 반도체 부문이 적자에도 불구하고 국내외에서 대규모 투자를 진행할 수 있는 배경이다.

삼성전자 스마트폰과 가전사업 전략의 요체는 인공지능(AI)에 있다. 고성능 AI를 입혀 제품 매력도를 끌어올리는 전략이다. 세계 최초 ‘AI폰’ 갤럭시S24 시리즈가 그렇게 나왔다. TV·가전 부문도 비스포크 AI TV를 비롯해 냉장고, 청소기 등 AI 관련 신제품을 동시다발적으로 선보였다.업계 관계자는 “삼성이 쌓은 브랜드 파워와 기술력 덕분에 소비 침체에도 불구하고 삼성 제품 판매는 늘어나는 추세”라며 “경기가 나빠져도 프리미엄 가전 수요는 꺾이지 않는다고 보고 양보다 질에 주력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박의명 기자 uimyung@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