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LB, 신약 불발 '쇼크'…이틀 뒤 유한양행에 쏠리는 시선

HLB의 간암 신약이 미국 식품의약청(FDA) 문턱을 넘지 못하면서 바이오주를 향한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틀 앞으로 다가온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초록 공개가 바이오주의 단기 방향성을 결정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21일 코스닥 시장에서 HLB의 주가는 3.19% 오른 4만8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하한가 탈출에 성공했지만, 최근 3거래일간 HLB의 주가는 48.73% 하락했다. HLB가 중국 항서제약과 개발 중인 간암 신약이 FDA 승인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지만 이런 기대감이 깨진 탓이다.증권가의 시선은 오는 23일(현지시간) 공개될 ASCO 초록에 집중된다. ASCO는 미국암학회(AACR), 유럽종양학회(ESMO)와 함께 세계 3대 암학회로 꼽힌다. ASCO 2024는 오는 31일부터 열리지만 이보다 일찍 공개될 초록을 통해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임상 성과를 엿볼 수 있기 때문이다.

가장 주목받는 기업은 유한양행과 오스코텍이다. 유한양행의 폐암 치료제 '렉라자'와 관련한 임상 성과가 ASCO에서 다수 공개될 예정이라서다.

렉라자는 유한양행이 지난 2015년 오스코텍으로부터 기술이전해 개발을 추진해왔다. 지난 2021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국산 31호 신약으로 허가받았고, 오는 8월 미국 FDA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는 단계다. 이번 ASCO에서 공개될 연구성과를 통해 향후 FDA 심사 통과 여부도 가늠해볼 수 있을 전망이다. 실제 이런 기대감이 반영되며 유한양행과 오스코텍의 주가는 올해 들어 11.63%, 50.11% 올랐다.다만, 지난해 10월 ESMO에서는 기대 이하의 임상 지표가 공개되며 초록 공개 이튿날인 18일 유한양행과 오스코텍 주가는 각각 17.45%, 20.85% 급락한 바 있다. 이선경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유한양행의 레이저티닙은 우수한 임상 경쟁력을 입증했다"며 "FDA 승인을 앞두고 그동안의 결과와 비교해 특이점이 발견되지 않는지가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ASCO에서는 유한양행과 오스코텍 외에도 리가켐바이오, 에이비엘바이오, 지아이이노베이션 등 16개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의 임상 발표가 예정돼 있다.

전효성 기자 zeo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