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어발 경영' 비판 듣던 카카오…1년 만에 계열사 19곳 줄였다

카카오, 계열사 가지치기…1년 만에19곳 줄여
14일 기준 128개…전년 동기엔 147개
계열사 중 86%가 IP, AI·헬스케어, DX에 포진
사진=연합뉴스
‘문어발 경영’이란 비판을 듣던 카카오가 계열사 줄이기에서 성과를 내고 있다. 1년 만에 계열사 수를 19곳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4일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카카오의 계열사 수는 128개로 전년 동기(147개) 대비 19개가 감소했다. 카카오가 지난해 12월 ‘2023년 하반기 기업집단 설명서’를 냈던 시점(138개)과 비교하면 10개가 줄었다.핵심 사업으로 분류되지 않는 기타 계열사 7개가 줄어든 게 핵심이었다. 모노트리, 트레잉스문화산업전문회사, 비컨홀딩스 등이 정리 대상에 포함됐다. 카카오 동일인·친족 소유 법인인 케이큐브임팩트, 오닉스케이, 뉴런잉글리쉬 등도 계열사 목록에서 제외됐다.
카카오가 이달 '2024 상반기 기업집단 설명서'에서 소개한 계열사 현황. 카카오 제공
카카오는 핵심 사업을 지식재산권과 정보기술(IT)을 결합한 문화 생태계 구축, 인공지능(AI) 및 헬스케어, 디지털 전환(DX) 등 세 영역으로 잡고 사업 포트폴리오에 가지치기를 하고 있다. 이 세 영역에 포함된 카카오 계열사는 110개로 카카오 기업집단의 86%를 차지한다.

영역별로는 문화 생태계 영역에 포함된 계열사가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카카오게임즈 등 80개로 전체의 63%를 차지했다. 이 분야 계열사들은 웹툰, 웹소설, 게임 등을 활용해 해외 시장에 도전하거나 자체 IP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IP의 2차 가공이 이뤄지는 콘텐츠 생태계를 구축하는 게 카카오의 사업 방향이다.AI 및 헬스케어 영역에선 카카오브레인, 카카오엔터프라이즈, 카카오헬스케어, 그라운드엑스, 카카오벤처스, 카카오인베스트먼트 등 7개사가 있다. 계열사 수 중 5%를 차지한다. 카카오는 미래 성장 동력을 발굴하기 위한 차원에서 이 분야 투자와 함께 스타트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투자도 병행하고 있다.

핀테크, 모빌리티, 커머스 등의 DX 영역에서 사업을 전개하는 카카오 계열사는 23개로 카카오 기업집단의 18%를 차지한다. 카카오페이, 카카오뱅크,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스타일 등이 포함된다. 카카오모빌리티가 산하에 두고 있는 택시업체 11곳도 들어간다.

카카오는 최근 카카오브레인의 주요 사업을 넘겨 받는 등 계열사 간 통합을 지속 추진하고 있다. 사업 방향과 기업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창구를 마련하고자 ‘기업집단 설명서’를 2022년부터 매년 2회씩 발행하고 있다.

이주현 기자 deep@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