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드렛일' 맡던 中이 변했다"…알리가 한국에 공들이는 이유

정연승 한국경영학회 수석부회장 인터뷰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글로벌 밸류체인(가치사슬)에서 단순 생산·조립 등 ‘허드렛일’을 맡았던 중국의 무역 전략이 고부가가치 영역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알리익스프레스·테무 등 중국 e커머스의 공습도 이런 맥락에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정연승 한국경영학회 수석부회장(단국대 경영학부 교수·사진)은 최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정 부회장은 한국유통학회장, 한국마케팅관리학회장을 지낸 유통업계 전문가다. 지난 2월 산업통상자원부가 중국 e커머스 대응회의를 열었을 때 발제자로 나서는 등 중국 플랫폼의 공습에 대해 적극 목소리를 내고 있다.
정 부회장은 “중국 e커머스가 한국에 공을 들이는 건 중국의 중장기적 무역 전략에 중요한 시장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명품·가전 등 고부가가치 시장이 큰 한국에서 중국 플랫폼이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전세계 무역 시장에서 ‘하이엔드’ 포지션을 가져갈 수 있다”며 “알리가 최근 단순 공산품에서 신선식품·가전 등으로 영역을 넓히는 것도 이런 이유”라고 했다.

문제는 한국 유통 생태계가 중국에 종속될 수 있다는 점이다. 정 부회장은 일본을 사례로 들었다. 그는 “아마존이 일본 시장에 처음 들어왔을 때 지금의 ‘알리-CJ대한통운’처럼 야마다운수라는 현지 물류업체와 손을 잡았지만, 소비자층이 두터워지면서 물류·협력업체까지 모두 장악했다”며 “e커머스는 판매자, 소비자, 핀테크까지 결합돼있기 때문에 알리·테무에 안방을 내주면 자칫 일본처럼 생태계를 통째로 외국에 넘겨주게 되는 것”이라고 우려했다.정 부회장은 이를 막기 위해 “국내 토종 플랫폼에 대한 규제를 최소화해 알리·테무와 동등선상에서 경쟁할 수 있도록 만들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일각에서 주장하는 ‘무관세 철폐’ 등은 중국으로부터 무역 보복을 당할 수 있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방안”이라며 “그 대신 국내 e커머스의 투자와 발전을 가로막는 ‘플랫폼법’ 등 규제를 없애는 게 정부의 역할”이라고 했다.

이선아 기자 suna@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