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2~3년 안에 반도체 1위 되찾겠다"

경계현 사장, 주총서 자신감

젠슨 황 "韓 HBM 환상적
삼성 제품 테스트하는 중"
‘인공지능(AI) 반도체’로 불리는 고대역폭메모리(HBM) 시장에서 SK하이닉스에 주도권을 빼앗긴 삼성전자가 반격의 칼을 빼 들었다.

HBM이 필요없는 신개념 ‘AI 가속기’(AI 학습·추론에 특화한 반도체 패키지)를 연말에 출시해 AI 반도체 시장의 판을 뒤흔든다는 계획을 내놨다. 여기에 HBM 시장의 최대 ‘큰손’인 미국 엔비디아 납품을 눈앞에 두는 등 HBM 경쟁력도 끌어올리는 투트랙 전략을 쓰기로 했다.경계현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장(사장·사진)은 20일 경기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주주총회에서 “2~3년 내 반도체 세계 1위를 탈환하겠다”며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지난해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 매출은 459억달러로 TSMC(668억달러), 인텔(514억달러), 엔비디아(495억달러)에 밀렸다.

경 사장은 지난해 실적 부진에 대해 “업황의 다운턴(downturn)도 있었지만 사업을 잘 못한 것도 있었다”며 “올해는 근원적 경쟁력을 회복해 시장의 영향을 덜 타는 사업구조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1위 탈환을 위해 시장을 주도하는 신제품을 대거 내놓겠다고 밝혔다. 엔비디아의 AI 가속기 ‘H100’ 등에 대항할 수 있는 ‘마하 1’이 대표적이다. 경 사장은 “연말에는 마하 1을 만날 수 있을 것”이라며 “2030년까지 경기 기흥 연구개발(R&D) 단지에 20조원을 투입해 첨단 제품을 계속 내놓을 계획”이라고 했다.엔비디아에 HBM을 납품할 가능성도 높아졌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삼성 HBM을 사용하느냐’는 질문에 “현재 테스트하고 있고, 큰 기대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의 HBM 기술은 놀랍다”며 “엄청난 기술적 성과”라고 치켜세웠다.

이날 사업 전략 발표와 엔비디아와의 협력 가능성에 삼성전자 주가는 5.63% 오른 7만6900원에 마쳤다.

김채연 기자/새너제이=최진석 특파원 why29@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