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땡큐, 中 쇼핑앱"…택배 물량 쏟아지더니 주가 폭등한 회사

중국 패스트패션 브랜드 셰인·테무에서 발송된
택배 물량 확대…수혜입은 페덱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미국 전자상거래 배송업체인 페덱스(FDX)의 주가가 지난 한 해 동안 50% 가까이 올랐다. 중국 쇼핑 앱들의 미국 시장 점유율 확대로 인해 수혜를 봤다는 분석이다.

25일 뉴욕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초 173.20달러로 시작했던 페덱스의 주가는 작년 말 252.97달러로 마감했다. 한 해 동안 주가가 46% 오른 셈이다. 페덱스는 지난해 12월1일에는 장 중 285.53달러를 찍었다. 올 들어 페덱스의 주가가 소폭 하락하며 24일(현지시간) 페덱스의 주가는 249.73달러로 마감했다.
사진=AFP
페덱스의 주가가 급상승한 데에는 중국 쇼핑앱들의 영향이 컸다. KB증권에 따르면 2023년에 면세 혜택을 받아서 미국으로 수입된 소포는 10억 개를 넘어섰는데, 2019년의 2배 수준이었다. 이 중 중국 패스트패션 브랜드 셰인 (Shein)과 테무(Temu)에서 발송된 택배가 3분의 1을 차지했다.

페덱스의 경쟁자인 아마존도 값이 싼 테무에 밀리고 있다. 김일환 KB증권 연구원은 "비행기를 이용한 빠른 배송 수요보다 배를 통한 저렴한 배송 수요가 늘고 있다"면서 "빠른 배송을 강조하는 아마존의 전략이 큰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페덱스는 미국 경기의 바로미터라고 불린다. 전세계 물동량을 통해서 소비심리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페덱스의 주가는 코로나로 인해 전세계가 봉쇄되자 택배 수요 폭발로 2011년 5월 319달러까지 올랐다. 이후 오프라인 시장이 회복되며 다시 150달러 대로 하락했다.

윤아영 기자 youngmoney@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