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원 끄니 TV 사라지고 투명 스크린이…

CES 2024

삼성·LG '차세대 TV' 대전
프로세서·디스플레이 확 바꿔
'AI·투명 스크린' 신제품 공개
< 속 보이는 TV >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 ‘CES 2024’가 9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한다. 사진은 LG전자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투명·무선 올레드 TV ‘LG 시그니처 올레드 T’ 15대로 구성한 미디어 아트를 CES 2024 부스에 설치해 놓은 모습. LG전자 제공
글로벌 TV업계 1·2위(매출 기준)인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 ‘CES 2024’에서 ‘두뇌’(프로세서)와 ‘얼굴’(디스플레이)을 확 바꾼 차세대 TV를 나란히 내놨다. 똑똑한 인공지능(AI)이 저화질 영상을 알아서 8K(초고화질)로 바꿔주고, 전원을 끄면 유리처럼 투명한 스크린이 나오는 ‘듣도 보도 못한’ 제품이다. 삼성과 LG가 기술 경쟁력에서 일본 소니, 중국 TCL 등 경쟁사를 멀찌감치 따돌렸다는 평가가 나온다.

삼성전자는 CES 2024 공식 개막을 이틀 앞둔 7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최신 TV와 기술, 서비스를 공개하는 ‘삼성 퍼스트룩 2024’ 행사를 열었다. 발표를 맡은 용석우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사장)은 “AI 스크린 시대는 삼성이 선도할 것”이라며 프리미엄 신제품인 ‘네오 QLED 8K’ TV를 공개했다. 기존 2세대 신경망처리장치(NPU)보다 속도가 두 배 빠른 ‘NQ8 AI 3세대’ 통합칩셋(SoC)을 적용해 AI 성능을 대폭 끌어올린 제품이다. 빠르고 똑똑한 AI가 원본 저화질 영상의 듬성듬성한 픽셀에 맞는 색상을 찾아 꼼꼼하게 채우는 식으로 초고화질로 바꿔주고, 스크린에 뜬 영상에 맞게 음향에도 현장감을 입힌다.삼성전자는 이날 투명 마이크로 LED(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를 세계 최초로 전시했다. 삼성 관계자는 “현재 유리로 된 모든 벽면과 화면을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로 바꿀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라고 했다.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유리창이 사무실과 아파트 창문을 대체할 수 있다는 의미다.

LG전자도 두뇌와 얼굴을 싹 바꾼 신제품으로 맞불을 놨다. 이날 공개한 프리미엄 TV 신제품인 ‘LG 시그니처 올레드 T’에는 투명한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가 적용됐다. TV를 껐을 때 검은 화면이 뜨지 않아 주변 가구와 잘 어울리는 게 강점이다. 함께 선보인 ‘알파 11’은 기존 TV용 SoC보다 AI 성능이 네 배나 향상된 칩이다.

TV업계 관계자는 “삼성과 LG가 올해 CES에서 TV의 미래에 힌트를 줬다”며 “세계 TV 시장의 양대 강자가 동시에 차세대 AI 칩과 투명 패널을 화두로 던진 만큼 일본 소니, 중국 TCL·하이센스 등 후발주자도 뛰어들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라스베이거스=황정수/김익환 기자 hjs@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