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망 재편에 韓 투자 늘려"…작년 외국인직접투자 '역대 최대'

7.5% 증가한 327억달러

글로벌 투자 환경 악화에도
한국은 3년 연속 최고액 경신
반도체·2차전지 기업에 집중
지난해 국내 외국인직접투자(FDI)가 327억2000만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글로벌 투자환경이 악화한 상황에서도 3년 연속 역대 최고액을 경신한 것이다. 공급망 재편에 따라 반도체와 2차전지 등 전기·전자 업종 투자가 증가한 데 힘입은 것으로 분석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4일 이 같은 내용의 ‘2023년 FDI 동향’을 발표했다. 지난해 신고 기준 FDI는 7.5% 증가하며 2021년(295억1000만달러)과 2022년(304억5000만달러)에 이어 3년 연속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2020년(207억5000만달러)에 비해서는 3년 만에 57.7% 늘어났다. 지난해 도착 기준 FDI 또한 3.4% 증가한 187억9000만달러로 역대 최대치를 나타냈다. 작년 상반기 기준 글로벌 FDI가 전년 동기 대비 30% 감소한 가운데 거둔 성과다.글로벌 공급망이 재편되는 가운데 한국이 새 투자처로 부상한 효과라는 평가다. 전체 제조업 FDI는 전년도 초대형 석유화학 투자의 역기저효과로 4.5% 감소한 119억2000만달러를 기록했는데 반도체와 2차전지 품목이 포함된 전기·전자 업종 투자 규모는 40억6000만달러로 17.7% 커졌다.

특히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으로 미국 수출이 어려워진 중국 2차전지 업체들이 우회로를 뚫기 위해 국내 투자를 늘렸다. 이에 따라 중화권(중국 홍콩 대만)의 투자액이 31억2000만달러로 65.6% 증가했다. 이 중 대만 기업의 투자는 반도체 업종을 중심으로 2022년 2000만달러에서 지난해 3억7700만달러로 크게 늘었다.

유형별로는 고용창출 효과가 큰 그린필드형 투자(공장이나 사업장을 새로 짓는 방식)가 5.5% 증가한 235억4000만달러로 전체의 71.9%를 차지했다. 그린필드 투자액은 역대 최고치다. 기존 기업에 대한 인수합병(M&A)형 투자는 12.9% 늘며 91억8000만달러를 기록해 28.1%의 비중을 보였다.지난해 1억달러를 들여 국내 공장을 새로 짓기로 한 네덜란드 반도체 장비업체 ASM의 김용길 한국대표는 “우수한 협력사가 많고 밸류체인이 잘 구축된 게 한국의 강점”이라고 말했다.

박한신/이슬기 기자 phs@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