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금리 내린다는데…한국도 따라 내릴까

제롬 파월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이 1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종료 후 기자회견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미국 중앙은행(Fed)이 금리 인상 사이클 종료를 시사한 가운데 한국은행도 기준금리 인하 시점을 고민하게 됐다.

13일(현지시간) Fed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치고 기준금리 목표 범위를 5.25∼5.50%로 동결했다. 지난 9월과 11월에 이어 세 번째 연속 동결이다. 한국(3.50%)보다는 2.00%포인트 높은 수준이다.제롬 파월 Fed 의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이번 긴축 국면에서 기준금리가 정점이나 그 근처에 도달했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사실상 금리 인상 중단을 시사했다.

이날 공개된 점도표에서 Fed 위원들은 내년 기준금리 중간값을 4.6%로 예상했다. 현재 금리(5.25∼5.50%) 대비 세 차례 금리 인하를 반영한 수준이다. 시장에서는 이르면 내년 1분기 금리 인하가 시작될 것이라는 기대가 커졌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FFR) 선물 시장에서는 Fed가 내년 3월 FOMC에서 정책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을 80.8%, 동결할 가능성을 19.2%로 보고 있다.
사진=뉴스1
Fed가 금리 인상 중단을 시사하면서 한은도 금리 인하 시점을 고민할 전망이다. 한은 입장에서는 그동안 기준금리를 올리기도, 내리기도 어려운 딜레마 상황이 계속됐다.

기준금리를 올리자니 경기 회복세가 뚜렷하지 않은 데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위험 등 금융 시장 불안 요소가 컸고, 금리를 내리자니 불어나는 가계부채와 물가 불확실성, 미국과의 금리 차 등이 발목을 잡았다.

미국이 금리 인상 사이클을 종료하면 한은 입장에선 인상 압박 요인을 하나 덜 순 있다. 다만 한은이 당장 금리를 내릴 가능성은 크지 않다. 향후 가계대출 증가 폭이 더 커지고 유가 등 물가가 급등하면 추가 인상을 진지하게 고민해야 하는 상황이어서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달 금통위 통화정책 방향 회의 직후 기자 간담회에서 "저(이창용 총재)를 뺀 6명의 금통위원 가운데 4명이 3.75%로 인상 가능성을 열어두자는 의견"이라며 금통위원 과반이 0.25%포인트 인상을 염두에 두고 있다고 전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한은이 미국의 금리 인하를 확인한 뒤, 내년 2분기쯤 기준금리를 낮출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안예하 키움증권 선임연구원은 "미국은 내년 2분기부터 정책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며 "한국의 경우 상반기 급격한 경기 둔화가 없을 수 있어 7월쯤 인하에 나설 것"이라고 내다봤다.정중호 하나금융경영연구소장도 "소비지출 여력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겠지만 미국은 5∼6월쯤 금리 인하할 것"이라며 "한국은 환율 등 변수가 없다면 Fed가 금리를 내린 뒤인 7월쯤 인하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