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총재 "디지털화폐, 적절히 규제돼야"…韓 정부·IMF, 공동 컨퍼런스

14·15일, 서울 포시즌스서 개최
추경호 "디지털화폐, 양날의 검"
사진=EPA
기획재정부는 금융위원회 한국은행 국제통화기금(IMF)과 함께 14일부터 이틀간 서울 당주동 포시즌스 호텔에서 '디지털화폐: 변화하는 금융환경 탐색'을 주제로 국제 콘퍼런스를 연다고 발표했다.

이번 행사는 한국 정부와 IMF가 2017년 이후 6년 만에 함께 개최하는 콘퍼런스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과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 이창용 한은 총재,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 등 주최 기관 수장들과 국내외 디지털 화폐 전문가들이 참석한다.추 부총리는 개회사에서 디지털 화폐가 혁신성과 불안정성을 동시에 가진 '양날의 검'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디지털 화폐가 현재의 경제·금융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경제 성장과 새로운 산업의 토대가 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부위원장은 환영사를 통해 글로벌 규제 동향과 이에 맞춘 국내 가상자산법 시행 등 정책 현황을 소개했다. 초 국경적 거래가 빈번한 거래 특성상 효과적인 규율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국제 협력이 더 강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기조연설에서 디지털 방식의 금융 시스템이 안전하고 효율적인 결제와 거래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적절하게 규제되지 않으면 통화 정책과 자본 유출입 관리 조치의 유효성을 약화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런 부작용을 방지하려면 암호자산 발행자와 발행 기관에 대한 적절한 규제와 규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이번 콘퍼런스 첫째 날에는 디지털 화폐를 주제로 논의가 이뤄진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게오르기에바 총재, 김 부위원장 등이 디지털 화폐가 거시경제 및 금융시스템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토의한다. 두 번째 세션에선 디지털 화폐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고, 안정적인 활용을 위한 규제와 기술적 기반에 관해 토론한다. 마지막 세션에서는 가상자산에 대한 각국의 규제 동향과 국제적으로 일관된 규율의 필요성을 논의한다.

이튿날에는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를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될 예정이다. 디지털화폐가 중앙은행의 역할에 미칠 영향, 스테이블 코인과 CBDC 간 공생 가능성, 국경 간 CBDC의 활용 등에 대한 토론이 예정돼 있다. 이 총재와 캄보디아 국립은행 총재 등은 디지털 경제에서 중앙은행의 역할과 디지털 화폐의 이점, 리스크 요인 등을 짚어본다.

박상용 기자 yourpencil@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