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인촌 문체부 장관 "작품 좋으면 계속 공연할 수 있게 지원"

유인촌 문체부 장관 취임 간담회

"블랙리스트 관련 인물 다 만날 것"
문화예술계 지원 대상을 선정한 기관이 지원 결과까지 끝까지 책임지는 책임심의 제도가 도입된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사진)은 30일 서울 충정로 모두예술극장에서 열린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에서 “지금껏 예술인에 대한 정부 지원은 (문체부 산하 기관이) 정해진 심사위원 풀에서 위원을 섭외해 지원 대상을 선정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며 “그러다 보니 한 번 심사한 다음에는 결과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는 지원 기관의 직원 등으로 심사위원을 구성해 심사의 전문성과 책임성을 강화할 계획”이라며 “청탁이나 불공정이 개입할 여지를 구조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 장관은 이명박·박근혜 정부 당시 이른바 ‘문화계 블랙리스트’에 연루됐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블랙리스트 사건 경위와 사실관계 등을 기록한 백서엔 그의 이름이 총 104번 언급돼 있다. 유 장관은 “일방적인 주장을 토대로 만든 것이기 때문에 신뢰를 갖고 있지 않다”며 “하지만 백서를 쓴 사람과 백서에 나온 사람들을 만나면서 현장과 소통할 계획”이라고 했다.

예술인 지원 형태와 관련해선 사후·간접 지원을 늘리겠다고 밝혔다. 유 장관은 “창작 비용만 지원하는 데 그치지 않고 법률·홍보·마케팅 등 간접 지원을 확대할 것”이라며 “이미 만들어진 작품이라도 작품성만 우수하다면 지속적으로 공연할 수 있도록 ‘레퍼토리화’를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신연수 기자 sys@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