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기기' 벗어난 스웨덴 학교들…종이책·손글씨 회귀 왜?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스웨덴 학교들이 디지털 기기에서 벗어나 종이책과 손글씨로 대표되는 전통적 교육 방식으로 돌아가고 있다.

11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은 스웨덴 학교들이 학생들의 문해력 향상을 위해, 이 같은 방식을 취하고 있다고 보도했다.보도에 따르면 최근 스웨덴 전역의 많은 학교가 종이책을 통한 수업과 필기 연습 등을 강조하고 있다. 반대로 태블릿PC 사용이나 온라인 검색, 타자 연습 등 전자 기기 사용은 줄었다.

그 일환으로 스웨덴 정부는 각 학교에 배치되는 도서 구입 비용으로 6억8500만코로나(약 823억원)를 투입한다고 밝혔고, 내년과 그 이듬해에도 연간 5억크로나(약 600억원)씩 추가 배정할 예정이다.

이는 지나치게 디지털화된 학습 방식으로 문해력 등 학생들의 학습 능력이 저하됐다는 비판에 따른 것이라고 가디언은 전했다.로타 에드홀름 교육부 장관은 지난 3월 "학습에는 종이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한 데 이어 지난달에는 "유치원에서의 디지털 기기 사용을 의무화했던 기존 방침을 뒤집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교육부는 6세 미만 아동에 대한 디지털 학습을 완전히 중단할 계획이라고도 발표했다.

실제 초등학교 4학년생 읽기 능력을 평가하는 '국제읽기문해력연구(PIRLS)'에 따르면 2016∼2021년 스웨덴 학생들의 읽기 능력은 저하 추세를 보였고, 전문가들은 디지털을 활용한 수업에 지나치게 치중하면 득보다는 더 실이 크다고 지적했다.스웨덴 왕립 카롤린스카 연구소는 지난달 자국 교육 디지털화에 대한 성명에서 "디지털 도구가 학생의 학습 능력을 향상하기보단 오히려 저해한다는 명백한 과학적 증거가 있다"고 강조했다.

정확성이 검증되지 않은 무료 디지털 소스에서 지식을 습득하기보단 인쇄된 교과서와 교사의 전문 지식을 통해 지식을 습득하는 데 초점을 둬야 한다는 게 연구소 측 주장이다.

유네스코(UNESCO)도 지난달 발표한 보고서에서 기술은 교사가 주도하는 대면 교육을 대체하지 않는 수준으로 투입돼야 한다고 촉구했다.반면, 전자기기 활용이 학습에 방해가 된다고 단편적으로 설명할 수 없다는 지적도 있다.

호주 멜버른에 있는 모나쉬 대학 교육학 교수 닐 셀윈은 "기술의 영향을 비판하는 게 보수적 정치인들에게 인기 있는 움직임"이라면서 "이는 전통적 가치에 대한 (자신의) 헌신을 알리는 깔끔한 방식"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스웨덴 정부가 '기술이 학습을 증진한다는 증거가 없다'고 말하지만, 이는 기술과 관련해 교육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직접적 증거가 없기 때문"이라면서 "기술은 교육의 매우 복잡한 요인 중 한 부분일 뿐"이라고 강조했다.

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