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총재 "印·중동·유럽 인프라, 다른 나라 배제해선 안돼"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 "통합 경제 정신으로 나아가길"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가 미국 주도의 ‘인도·중동·유럽 경제회랑(IMEC)’이 다른 국가를 배제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10일(현지시간) 미 CNBC에 따르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참석차 인도 뉴델리를 방문한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이 매체와 인터뷰에서 "무역이 성장 엔진이 되길 바란다면 회랑과 기회를 만들어야 한다"며 "중요한 건 다른 국가를 배제하기 위해서가 아닌 모두의 이익을 위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게오르기에바 총재는 "이런 점에서 저는 모든 국가가 협력해 통합 경제의 정신으로 나아가길 촉진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코로나 펜데믹(세계적 대유행)과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을 통해 공급망을 강화하고 다양화해야 한다는 것을 배웠다"며 "연결성은 매우 중요하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인프라 연결에 대한 투자와 국가 간 무역을 위한 플랫폼이 더 많아질수록 관련 국가뿐 아니라 세계 경제에도 도움이 된다"며 "교통, 통신, 무역의 확장은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IMEC는 인도·중동·유럽을 철도 등으로 연결하는 구상이다. 사실상 중국과 중앙아시아, 유럽을 이으려는 중국의 일대일로(육상·해상 실크로드) 사업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로 분석된다. 미국은 다음 달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주재로 열리는 ‘일대일로 정상 포럼’에 앞서 IMEC 구상을 내놨다.

CNBC는 이에 대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IMEC) 구상은 중동에서 중국의 영향력과 10년 동안 지속된 중국 일대일로 구상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며 "세계 경제가 분열되면 세계 무역 성장이 제한되고, 세계 경제 성장 둔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한편 9일 인도 뉴델리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에서 미국 인도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정상은 IMEC를 추진하는 양해각서(MOU)를 맺었다. MOU 체결국 외에 이스라엘과 요르단도 IMEC에 동참하기로 했다. 미국 등 관련국은 60일간 실무그룹 논의를 거쳐 재원 마련 방안 등 상세 추진안을 만들 계획이다.

신정은 기자 newyearis@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