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우식 딥노이드 대표 "MRI 찍을 때마다 수익…내년 흑자전환 자신"

기업 탐방

최우식 딥노이드 대표 인터뷰
의료 AI 진단 프로그램 보유
32만원 MRI 찍으면 4만원 챙겨
공항·공장 등 산업 AI도 두각

일각 "실적 증명의 시간 필요"
올해 국내 주식시장에서 가장 뜨거운 테마는 의료 인공지능(AI) 기술이다. 몇 달 사이에 주가가 너댓 배 뛴 종목도 많다. 딥노이드는 국내 의료 AI를 대표하는 주요 기업으로 꼽힌다. 올해만 주가가 약 400% 올랐다.

○“딥노이드, 내년 흑자 전환 가능”

31일 서울 구로디지털단지 본사에서 만난 최우식 딥노이드 대표(사진)는 ‘수익 모델’을 묻는 질문에 “의료 AI가 진단에 한번 활용되기 시작하면 매출과 이익은 계속해서 늘어난다”고 설명했다. 최 대표 설명에 따르면 의료 AI 진단 프로그램은 향후 환자들이 자기공명영상(MRI), 자기공명혈관조영술(MRA), 컴퓨터단층촬영(CT) 검사를 할 때마다 매출이 발생한다. 딥노이드는 AI 뇌 진단 프로그램인 ‘딥 뉴로’ 개발을 완료한 뒤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뇌출혈로 이어지는 뇌동맥류 등 현상을 미리 진단하거나 찾아낼 수 있다.

딥 뉴로가 진단 과정에 활용되면 MRA 촬영비용의 10~15%가량이 수입으로 들어온다. 환자가 MRA를 찍기 위해 32만원의 비용을 낸다면 이 중 24만원은 MRA 비용, 8만원은 딥 뉴로 사용 비용이라는 의미다. 이런 AI 사용 비용 중 절반(4만원)은 병원, 나머지 절반은 딥노이드 몫이다. 이런 수익모델에선 환자가 MRA를 촬영할 때마다 수익이 발생한다. 최 대표는 이 프로그램 하나로만 연간 약 400억원의 매출을 예상하고 있다.

AI 진단 수요도 많다. 현재 전국 4000명의 영상전문의가 연간 2억1900만 건에 달하는 검사 데이터를 진단하고 있다. AI 진단 기술을 활용하면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약할 수 있다. 정확도도 올라간다.

○산업AI 분야에도 진출

딥노이드는 딥 뉴로 외에도 척추 촬영 데이터를 진단 및 분석하는 ‘딥 스파인’, 폐를 진단하는 ‘딥 렁’, 흉부를 진단하는 ‘딥 체스트’ 등 AI 기술을 갖고 있다. 의료기관의 검증기간, 보험 수가 적용을 위한 인가 과정 등을 거쳐 상용화된다. 최 대표는 “내년 매출이 130억원 이상이면 흑자 전환할 수 있다”며 “현재 추이를 보면 200억원 정도의 매출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딥노이드는 사업 다각화를 위해 산업AI 분야에도 진출하고 있다. 사진 속 일부 지점을 보고 뇌동맥류를 진단할 정도의 기술력이 있어 산업 현장에서도 충분히 활용될 수 있다는 판단이다. 공항보안검사에 활용하는 ‘딥 시큐리티’, 공장에서 불량품이나 이물질을 검사하는 ‘딥 팩토리’ 등이 대표적인 기술이다. 리스크 요인도 있다. 생명·의료와 연관돼 있어 예상하지 못한 규제나 사고 등이 불거질 수 있어서다. 보험 수가도 수익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다. 한 증권사 연구원은 “올 들어 시장 성장 기대감 등으로 주가가 크게 올랐지만 앞으로는 실적이 나와야 추가로 상승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성상훈 기자 uphoo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