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종호 국전약품 대표, 호실적 국전약품 "신약·전자소재로 사업확장"

마켓PRO C레벨 인터뷰
“원료의약품에서 신약 개발, 전자소재 등으로 사업 영역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내년엔 전자소재 부문에서도 매출이 발생합니다.”

국내 대표 원료의약품업체인 국전약품의 홍종호 대표(사진)는 지난 16일 경기 안양시 본사에서 한국경제신문과 한 인터뷰에서 “100년 이상 지속 가능한 기업이 되려면 비즈니스를 다각화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국전약품은 코로나19 사태의 대표적인 수혜주로 꼽힌다. 코로나 발생 전후인 2018년부터 2022년 사이 매출이 2배 껑충 뛰었다. 최근 코로나 확진자가 다시 급증하는 가운데 독감까지 유행하자 실적이 다시 우상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올 상반기 매출은 61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8% 증가했다. 영업이익도 전년 동기 대비 59.9% 늘었다. 홍 대표는 “코로나 확산 시기에 주력 제품인 감기약 원료 외 만성질환 의약품 원료 위주로 제품 포트폴리오를 구축한 것이 성과로 이어졌다”며 “올해 원료의약품 사업 부문은 10~15%가량 성장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홍 대표의 부친인 고(故) 홍재원 창업주가 1978년 설립한 국전약품은 주로 원료의약품을 생산해왔다. 홍 대표가 회사를 물려받은 뒤엔 신약 개발 등 바이오 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이 회사가 면역학 기반의 바이오업체인 샤페론과 공동 개발 중인 치매 치료제(HY 209, 누세린)는 임상 1상을 앞두고 있다. 개량 신약 연구개발업체인 티에치팜과는 ‘THP-001 당뇨+고혈압 복합제’를 개발하고 있다.

홍 대표는 “여타 신약개발사와 달리 원료의약품 사업을 통해 안정적인 캐시카우를 확보한 상태에서 신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최근 들어선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2차전지의 전자소재 영역으로도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총 500억원을 투자해 충북 음성에 지은 전자소재 생산 공장을 지난 17일부터 가동하고 있다.

홍 대표는 “원료의약품과 전자소재는 화학반응을 일으켜서 만든다는 공통점이 있다”며 “유기합성 분야 연구인력을 기반으로 고객사가 필요로 하는 소재를 정밀하게 생산할 수 있다”고 말했다.

류은혁 기자 ehryu@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