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용사 의결권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주주행동주의·ESG 힘싣는 금융당국

금융당국이 의결권 행사 관련 자산운용사들의 공시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기로 했다. 각 자산운용사들이 기업 주주총회에서 어떤 제안을 하는지, 의안에 대해 입장은 무엇인지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만든다는 의미다.

2일 금융감독원은 금융투자협회, 자본시장연구원, 각 자산운용사들과 함께 꾸렸던 '의결권 행사 가이드라인 TF(태스크포스)'의 중간 논의결과를 발표했다. 금융감독원은 앞서 주주행동주의의 바람이 불기 시작했던 지난 2월 "자산운용사가 책임있는 의결권 행사 등을 통해 ‘건전한 기업경영문화의 선도자’ 역할을 해야한다"면서 TF를 출범한 바 있다.우선 현재 이원화된 금융투자협회 공시 서식과 한국거래소 서식을 표준화하기로 했다. 현행 공시체계는 공시 형식이 협회와 거래소로 이원화돼, 운용사별 의결권 행사내역을 파악하기 어려웠다. 협회는 펀드의 입장에서 분기별 의결권 행사를 공시해왔고, 거래소는 상장주식의 입장에서 1년 동안 있었던 의결권 행사내역을 공시해왔다. 이를 보기 쉽게 통일한다는 계획이다.

주주총회 안건과 관련해 의안 유형, 종목 등 다양한 조건으로 정보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업도 추진한다. 현재는 의안유형 등과 관계없이 운용사별 일괄 공시를 하고 있다. 요구했던 사안을 단순하게 순서대로 공시하고 있는 만큼, 일목요연하게 요구를 파악하기 힘들었다. 앞으로는 특정 기업과 관련해 운용사들이 제안하고 있는 안건이 무엇인지, 과거 사례는 있었는지 등을 쉽게 유형화해 검색이 가능할 것이란 설명이다.

현재 투자자 뿐 아니라 투자를 고려하는 잠재적 투자자들과 관련 정보비대칭성을 해결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란게 당국의 입장이다. 또 주주행동주의 및 기업들의 ESG 흐름에도 적지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란 전망이다. 배당정책, 불공정거래 시정요구, 탄소감축 요구 등과 관련 구체적으로 어떤 운용사들이 어떤 요구를 하고 있는지 등을 투자자나 기관들이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주주행동주의나 ESG 요구와 관련해 가장 중요한게 사실 여론전인데 투자자들도 쉽게 사안을 파악할 수 있게되는 만큼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운용사들이 단기간 내에 기업별‧의안별 안건을 면밀히 분석하는 데에 실무적 어려움이 해결될 뿐 아니라, 적극적으로 의결권을 행사하는 회사가 '성실한 수탁자'로 평가받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것"이라며 "의결권 가이드라인 개정 등 기타 제도 개선 방안은 계속 논의 중이며, 태스크포스(TF)의 충분한 논의를 거쳐 최종안을 확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성상훈 기자 uphoo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