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주식 매력, 20년 만에 최악…"국채 수익률과 별 차이 안나"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미국 주식에 대한 투자 매력이 20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낮아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 국채 금리가 급등하면서 주식의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미국 증시가 랠리를 멈출지 주목된다.

31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미국 주식의 위험 프리미엄(ERP)은 지난주 1.1%포인트 안팎까지 떨어졌다. 이는 2002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ERP는 미국 S&P500 기업 주식의 기대수익률(12개월간 주당순이익/주가)과 10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의 격차로 주식을 보유해 기대할 수 있는 초과수익률을 뜻한다.

투자자는 고수익을 위해 위험을 감수하고 주식에 투자한다. 그런데 주식 투자 수익률이 ‘안전한’ 미 국채 금리와 별 차이가 나지 않는다면 굳이 위험자산인 주식에 투자할 이유가 사라진다는 얘기다. 특히 물가상승률을 제외한 실질 금리를 가리키는 10년 만기 미 물가연동국채(TIPS) 금리와 S&P500 기대수익률의 격차는 3.5%포인트까지 축소됐다. 2003년 이후 최저다.

ERP가 하락한 건 지난해 하반기부터다. 작년 3월부터 미국 중앙은행(Fed)이 빠른 속도로 기준금리를 올리면서 채권 금리는 급등했지만 주가는 올해 초부터 다시 반등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다만 대다수 전문가는 ERP가 계속 낮은 상태를 지속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주식의 매력이 국채에 비해 상대적으로 줄어들었다고 해도 최근 뉴욕증시 랠리가 곧바로 끝나는 것은 아니라는 얘기다. 미국 경제는 당분간 너무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은 이상적 상태인 ‘골디락스’를 유지할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일각에선 국채 금리 하락으로 ERP가 반등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Fed의 기준금리 인상이 7월로 끝날 수 있다는 기대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신정은 기자 newyearis@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