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진·왕이 1년 만에 회담…"건강한 韓·中관계 노력"

아세안 외교장관회의

양국, 북핵 문제 소통강화 공감
韓·日·中 정상회의 재개도 협력
박진 외교부 장관(왼쪽)과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이 14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샹그릴라호텔에서 양자 회담을 앞두고 악수하고 있다. /외교부 제공
박진 외교부 장관과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이 14일 인도네시아에서 약 1년 만에 양자 회담을 했다. 한·미·일 밀착에 따른 중국의 견제와 대만 문제 등으로 냉각기를 보낸 한국과 중국이 관계 개선에 물꼬를 틀지 주목된다.

박 장관은 이날 아세안 외교장관회의에 참석한 왕 위원과 자카르타 샹그릴라호텔에서 약 45분간 회담했다. 건강 문제로 불참한 친강 중국 외교부장을 대신해 중국 측 대표로 나선 왕 위원은 중국의 실질적 ‘외교 1인자’다. 외교부장이던 지난해 8월 중국 칭다오에서 박 장관과 대면 회담을 가졌다. 양국 장관급 이상 인사가 회동한 것은 올 들어 이번이 처음이다.양측은 지난해 11월 인도네시아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진행된 한·중 정상회담에서 한·중 관계를 지속 발전시켜 나가기로 한 정상 간 공감대를 재확인했다. 또 상호존중·호혜·공동이익에 기반해 건강하고 성숙한 한·중 관계를 만들어 가기 위해 세심한 주의와 노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고위급 교류의 중요성에도 양측이 공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외교안보대화, 차관급 전략대화, 차관급 인문교류촉진위 등 다양한 수준에서 소통을 강화하기로 했다.

북핵 문제에 대해 박 장관은 왕 위원에게 “북한이 도발을 중단하고 비핵화 대화에 복귀하는 것은 한·중 간 공동이익”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한 중국 측의 건설적인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양측은 북핵 문제와 관련해 각급에서 소통을 강화해 나가자는 데 공감했다. 양측은 또 한·일·중 3국 간 협력이 역내 평화와 번영에 긴요하다는 점에 공감하고, 장관·정상회의 등 3국 협력 협의체의 재활성화를 위해 적극 노력하기로 했다.

박 장관은 이날 한·중 회담에 앞서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부 장관,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과 3국 외교장관 회담도 가졌다. 박 장관은 지난 12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발사한 북한의 잇따른 도발을 억제하는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미·일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남중국해 문제도 거론한 것으로 알려졌다.박 장관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관련해 “명백한 국제법 위반 행위이자 국가주권·영토보전·정치적 독립 존중이란 국제질서의 근본 원칙에 대한 직접적 위협”이라고 지적했다.

김동현/맹진규 기자 3code@hankyung.com

핫이슈